청년들은 외면하는 경북도 ‘스마트팜 청년 취업 지원’
상주, 의성서 각각 14명, 5명 모집
두 곳 모두 채용 인원 못 채워
채용 방법과 채용 시기 등 채용 과정 전반에 있어 청년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한계가 많다는 지적이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스마트팜 청년 취업지원 사업’은 지난해부터 상주시와 의성군에서 추진되고 있다.
상주와 의성에는 각각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과 이웃사촌시범마을 사업 등을 통해 청년 창농(창업+농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이 사업은 ICT(정보통신기술) 시설을 접목시켜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스마트팜에서 이달 말까지 청년을 채용할 경우 인건비 50%를 지원한다.
월 최대 100만원, 연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된다.
대상 연령은 만18세에서 만 40세 미만으로 인건비는 경북도가 30%, 시군에서 70%를 부담한다.
올해 사업비는 총 2억원이 마련됐다.
이에 상주시와 의성군은 올해 2월부터 읍면 사무소 등을 통해 이 사업에 참여할 청년 구직자 모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두 달이 넘도록 상주시는 채용 인원 14명 가운데 7명만 모집했고 의성군 역시 5명 채용에 3명만 지원했다.
채용 인원은 각 지역 농업법인이나 농가 등의 수요 조사를 통해 최종 결정됐다. 상주와 의성은 채용 인원을 다 채우지 못하자 현재 추가 모집을 하고 있다.
의성군 관계자는 “스마트팜도 아직까지 열악한 농촌 일자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사정은 지난해에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상주시와 의성군의 채용 인원은 각각 11명, 13명이었지만 의성군은 겨우 3명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상주시도 우여곡절 끝에 겨우 채용 인원을 채웠다.
채용 인원이 대폭 줄어들면서 지원 예산도 당초 2억 5000만원에서 1억 5000만원으로 대폭 삭감됐다.
경북도는 청년들의 지원이 저조하자 올해부터 지원 대상 재배 품목도 대폭 확대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지난해의 경우 대상 품목은 딸기, 토마토, 오이, 멜론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채소 화훼 과수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했으나 청년들의 관심을 얻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경북도는 이 사업을 통해 농가의 인건비 부담 감소와 농촌 일자리 확대, 청년 창농 활성화 등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사업 취지가 무색해진 상태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팜의 청년 취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 주도가 아닌 농가와 수요자 중심으로 채용 방식을 바꿔 채용 과정의 유연성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고 주문한다.
익명을 요구한 경북대 한 교수는 “행정기관의 편의대로 채용이 진행되다 보니 근무 시기 등의 문제로 지원을 포기하는 청년들도 있을 것”이라며 “채용 방식과 근무 시기 등은 스마트팜 농가에서 자율적으로 직접 추진하고 행정기관은 지원만 해 주는 채용 방식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탕 꿈꾸다 쪽박”...보름만에 85% 날린 한국인들 [월가월부] - 매일경제
- 타는순간 3번 깜짝 놀랐다…‘혜자’ SUV, 2000만원 아깝지 않네 [카슐랭] - 매일경제
- 한때 코스닥 10위권 종목도 거래정지…바이오주에 ‘상폐 경보’
- 평당 2억도 없어서 못판다는데…‘인증샷 성지’ 된 이곳 - 매일경제
- “룸카페서 옷벗기 게임·성폭행”…간 큰 중3, 법원 판단은? - 매일경제
- ‘마약소동’ 전두환 손자 “3시간 폐 멈춰…약물 다신 안할 것” - 매일경제
- 평균연봉 2억원이라는 이곳…수십억 받는 사람도 수두룩 - 매일경제
- 친한 친구 주말 제주서 결혼하는데…숙소 비행기표 어찌하오리까 - 매일경제
- 요즘 증시 2차전지株만 보여…초고수가 쉬지않고 담는 이 종목 - 매일경제
- 서준원 미성년자 관련 성 범죄, KBO리그와 롯데에 큰 상처 남겼다(종합)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