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만 못한 파월”... 美 연준 의장 조롱한 머스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최신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4로 교체해야 한다"는 트위터 사용자의 주장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공감을 표했다.
23일(현지시간) 머스크는 한 트위터 이용자가 "챗GPT-4로 파월을 교체해야 한다"는 트윗을 날리자 "더 이상 좋을 수 없다"는 멘션과 함께 이를 리트윗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최신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4로 교체해야 한다”는 트위터 사용자의 주장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공감을 표했다.
23일(현지시간) 머스크는 한 트위터 이용자가 “챗GPT-4로 파월을 교체해야 한다”는 트윗을 날리자 “더 이상 좋을 수 없다”는 멘션과 함께 이를 리트윗했다. 머스크는 이어 “최근 금융위기로 은행들이 녹아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은행은 물론 서민들이 더욱 고통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바보같은 금리인상 결정으로 예금자들이 더 많이 도피처를 찾을 것”이라고도 했다.
머스크는 앞서 지난 20일에도 “연준이 금리인상이 아니라 금리인하를 해야 한다”며 최소 0.5%포인트의 금리인하를 촉구했다. 당시 그는 “진짜 문제는 아무도 연준을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며 연준을 맹비난했다.
연준은 전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다. 0.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상은 예상된 것이었다. 하지만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끝나지 않았다”고 발언하면서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1% 넘게 떨어지기도 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SVB 사태로 금리 인상 중단을 고려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고려는 했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우리는 물가 안정에 전념하고 있고, 말뿐이 아니라 실행으로 옮겨 그 신뢰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면서 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르포] “풍선효과만 만들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에 반발 커져
- “서울에 이렇게 예쁜 곳이” 외국인·시민들 감탄한 청와대 야간개장 첫날
- 살까, 팔까, 보유할까… 증권가 혼란스럽게 만든 이 종목
- 30% 떨어질 때 '줍줍'… 개미들의 주식 수익률은 과연?
- "강남서 전세사기 당했는데…" 이 피해자, 왜 구제 못받나
- [인터뷰] 모더나 설립자 “이재용 바이오 육성 전략 존경해...한국에 생산기지 검토 중”
- 국제공항평가 1위→4위… 인천공항 '톱3' 못오르는 이유
- 자동화에 소외된 노년층, 실버영화관 몰린다
- "김장 담글래요"… 한국어에 푹 빠졌다는 일본車 사장
- "주문 실수하면 1초 만에 85% 날릴 수도" 증권가 대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