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없는 세단…캠리 日판매중단, 쏘나타 단종

이유섭 기자(leeyusup@mk.co.kr) 2023. 3. 23.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요타, SUV·미니밴 인기로
작년 6천대 팔리자 '극약 처방'
닛산 푸가·혼다 레전드도 단종
현대차, 쏘나타후속 개발중단
스팅어·G70도 '역사 속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인기와 전기차의 급부상에 밀린 세단형 승용차가 조금씩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한때 완성차 업체 브랜드를 상징했던 대표 세단도 예외가 아니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 도요타는 43년 전통 세단인 '캠리'의 일본 내 판매를 중단할 계획이다. 도요타는 올해 말부터 내수 판매용 캠리 생산을 더 이상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각 대리점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신규 주문도 받지 않고 있다. 다만 미국과 동남아시아 등 여전히 캠리를 찾는 수요가 많은 수출만 지속할 계획이다.

도요타가 1980년 처음 선보인 캠리는 전 세계 100개국에서 누적 2100만대 넘게 판매된 중형 세단이다. 미국에서는 2002년부터 15년 연속 최다 판매 승용차 자리를 지키면서 작년 말까지 총 1300만대 넘게 팔렸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최근 일본 내 판매량은 2018년 2만1414대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여왔다. 급기야 작년에는 전년보다 45% 떨어진 5824대 판매에 그쳤다. 이로써 캠리의 일본 판매 역사는 2017년 출시한 10세대 차량에서 멈추게 됐다.

도요타의 캠리 생산 중단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는 SUV와 미니밴의 인기가 늘면서 세단이 설 자리를 잃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앞서 다른 일본 완성차 업체인 닛산은 '푸가'를, 혼다는 '레전드'를 단종한 바 있다. 둘 다 준대형 세단이다.

한국의 경우 현대자동차 대표 모델이자 38년이란 역사를 보유한 중형 세단 '쏘나타'가 같은 운명에 처할 전망이다. 쏘나타는 올해 하반기 선보일 8세대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을 끝으로 추가 개발을 중단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는 쏘나타 후속 모델 개발 계획이 없음을 인정하면서도 "향후 쏘나타 이름을 계승한 전기차가 나올 수 있지 않겠느냐"며 여지를 남겼다.

한때 내수 판매량 10만대를 넘겼던 쏘나타는 지난해 국내에서 4만8308대가 팔렸다. 스포츠 세단 콘셉트로 시장 공략을 시도했던 기아 '스팅어'와 제네시스 'G70'도 단종을 선언했거나 단종 수순을 밟고 있다.

자동차 통계 플랫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신차 등록을 한 세단 수는 49만4951대로 전년보다 12.6% 감소했다.

같은 기간 SUV는 5.4% 늘어나며 대조적인 모습이다. SUV·레저용차량(RV)과 함께 세단을 무대에서 밀어낸 것은 전기차다. 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글로벌 친환경·탄소중립 트렌드에 맞춰 전기차 생산량과 차종을 모두 늘려야 한다. 그러다 보면 현대차처럼 중형 세단 라인업에 순수 전기차인 아이오닉6와 내연기관 차량인 쏘나타를 모두 보유하는 상황이 계속 나타날 수 있다. 업계는 같은 세단이라면 전동화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수익성이 좋은 전기차를 남기고, 내연기관차를 단종하는 게 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당연한 수순으로 보고 있다.

권은경 자동차산업협회 조사연구실장은 "몇 년 전까지는 친환경·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선택지가 세단밖에 없다 보니 구매 결정 요인이 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지금은 SUV를 기반으로 한 전기·하이브리드 차량 라인업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섭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