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배 프로기전] 중국 커제 시대 끝

2023. 3. 23.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선 ○ 현유빈 5단 ● 한우진 7단 초점11(117~126)

2015년 열여덟 살 때 처음 세계대회에서 우승하고 2020년 스물세 살에 여덟 번째 세계대회 우승을 이뤘다. 그 세월 동안 커제는 중국 1위를 지키며 한국 1위 박정환을 따돌리고 세계 1위라는 말을 들었다. 코로나 시대에 들어와 한국 1위로 올라선 신진서는 세계대회에서 네 차례 우승했다. 2위로 내려간 박정환이 다섯 번째 세계대회 우승을 이뤘고 신민준은 세계대회 결승전에서 커제를 눌렀다. 커제는 중국에서는 여전히 첫째였지만 2년이 넘도록 세계대회 우승을 더하지 못했다. 중국 대회에서도 우승 한 번 더했을까.

신진서 앞에 붙은 세계 1위가 자연스러웠다. 올 것이 왔다. 세계대회 우승 한 번 없는 리쉬안하오가 3월 중국 순위에서 1위로 올랐다. 2022년 1월엔 16위였고 9월부터 2위에 자리한 지 6개월 만이다. 일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장 큰 대회 기성전에서 우승한 이치리키 료가 1위를 지켰다. 흑21, 멋 부리다 흙탕물에 빠질 뻔했다. <그림1> 흑1로 쭉 뻗으면 백2에 두어야 한다. 흑3에 늘어 백 석 점을 잡고 살면 넉넉하게 앞서는 형세다. 백26이 위험천만. <그림2> 백1로 살아야 했다.

[김영환 9단]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