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증시, ‘FAANG’의 시대 저물고 ‘애플·MS’ 시대 왔다

정미하 기자 2023. 3. 23.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거 미국 증시를 이끌었던 '팡'(FAANG, 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의 시대가 저물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이하 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팡의 시대는 분명히 끝났고, 현재 미국 시장은 단 두 종목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며 "지난 20일 기준, 애플과 MS가 S&P 500지수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11%, 6.14%로 두 회사의 합계(13.25%)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거 미국 증시를 이끌었던 ‘팡’(FAANG, 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의 시대가 저물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이하 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팡의 시대는 분명히 끝났고, 현재 미국 시장은 단 두 종목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며 “지난 20일 기준, 애플과 MS가 S&P 500지수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11%, 6.14%로 두 회사의 합계(13.25%)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팀 쿡 애플 CEO. / AFP=연합뉴스

지난 10년 동안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은 승승장구했고, 투자자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이들 회사 이름의 첫 글자를 딴 ‘팡’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팡의 주가는 지난 몇 년동안 꾸준히 상승했고, 이에 힘입어 S&P500 지수 내 비중도 커졌다. 2020년 8월 기준, S&P500 시가총액에서 팡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달했다. 하지만 이후로 팡의 점유율은 21%로 줄었고, 팡 중 일부 회사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팡의 시대가 저물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각에선 팡 소속 일부 회사의 주가가 떨어진 이유로 인플레이션 우려, 이로 인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올린 것을 꼽는다. 하지만 외부 조건 외에 회사 자체에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주가가 떨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메타의 경우 소셜미디어 경쟁이 심해지고 개인정보 규제 문제를 겪으면서 주가가 떨어지는 등 자체적인 문제가 있었다. 넷플릭스 역시 구독자 수 감소, 콘텐츠 제작비 상승과 씨름 중이다.

WSJ은 “애플과 MS가 주식 시장 혼란의 피난처로 부상했다”며 “애플과 MS 주식은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올해 들어 각각 21%, 14% 상승했다”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