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내놓고, 다 갖다 팔아도 빚 감당 안돼".. '고위험 가구' 두 배 늘었다

제주방송 김지훈 2023. 3. 23. 12: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빚 많아 자산 처분해도 여력 부족
고위험 가구 비중 5%.. 1년 새 급증
평균 금융부채 2억5,000만 원 달해
"이자 오르고 자산 가격 떨어진 탓"
저축은행 등 대출 비중 높아 '주의'


살고 있는 집은 물론, 갖고 있는 자산 등을 다 내다 팔아도 빚을 갚기 어려운 이른바 '고위험 가구'가 1년여 만에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이들 가구의 평균 빚만, 그렇지 않은 일반 가구의 2배 수준을 웃돌았습니다.

고위험 가구 10곳 중 1곳 이상이 빚을 제때 갚지 못해 연체를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 0%대 가계대출 연체률이 연말이면 1%대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반 금융권보다는 저축은행과 여신전문회사 같은 2금융권의 고위험 가구 신용대출 비중이 높아 대출자산 회수율이 예상보다 낮아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 지난해부터 금리 부담 등 늘어.. 고위험 가구, 재정 더 취약

오늘(23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대출자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뜻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는 가구를 연체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과다채무 가구로 평가합니다.

지난 달 기준 우리나라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24.7%, 자영업가구 중 30.9%가 DSR 40%를 넘긴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DSR 40% 이상은 물론,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이 100%를 넘는 가구를 '고위험 가구'로 정의하는데 '고위험 가구'의 경우 지난해부터 금리 부담이 늘고 상대적으로 자산 가격까지 떨어져 더욱 재정 여건이 취약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21년 대비 올해 2월 기준 DSR은 101.5%에서 116.3%로 높아져 소득 대비 대출 비중이 더 늘었고, DTA 역시 131.6%에서 158.8%로 상승해 보유 자산에 비해서 상환액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 고위험 가구 비중 2배 늘어.. "부채 비중도 급증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고 총재산 대비 총부채 비율(DTA)이 100%를 웃돌아 연체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가구' 비중이 지난 2월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5.0%로 추정됐습니다.

전년 2021년까지만 해도 고위험 가구 비중이 2.7%였던게 1년 2개월 사이 두 배 수준 늘어난 셈입니다.

이들 고위험 가구의 금융부채 보유 비중은 2021년 3.9%였던게 2월 9.0%로 추정됐습니다.

평균 금융부채만 해도 2억5,000만 원으로, 그렇지 않은 일반 가구의 1억 원에 비해 2.5배 수준 많았습니다.

■ 연체율 증가 우려.. "10곳 중 1곳 연체 경험"

이처럼 고위험 가구가 크게 늘면서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현재 0.7%에서 올해 말이면 1.0% 내외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고위험 가구 중 30일 미만 단기 연체 경험이 있는 가구(고위험 가구의 6.9%)와 연체 경험이 없더라도 향후 부채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응답한 가구(5.3%) 부채가 점차 연체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해 추산한 수준입니다.

고위험 가구 중 연체 경험이 있는 가구 비중이 14.7%로 그렇지 않은 일반 가구의 연체 경험 가구 비중(7.0%)보다 두 배 정도 많았습니다.


■ 부실 위험.. "상대적으로 낮아"

그러나 연체율 1% 수준은 장기 평균인 1.3%(2009년~2022년중)를 밑돌아 가계 전반의 부실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고위험 가구가 아닌 가구의 DSR과 DTA는 평균 각각 33.2%, 39.9%로 낮은 편입니다.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75.3%는 DSR이 40% 이하일 뿐 아니라. 빚 부실화 위험이 높다고 평가되는 자영업 가구의 69.1%로 DSR이 40% 이하입니다.

이들 가구의 5분의 4 이상 DTA 100% 이하에 속했습니다.

■ 연체율 상승 '속도'.. 2금융권 등 타격 키울 수도

문제는 금융기관들의 고위험 가구 연체율 상승에 따른 타격 수위입니다.

저축은행이나 여신전문금융회사만 해도 가계대출 연체율이 다른 금융업권보다 높아, 연체율 상승이 빨라지면 자연히 영향 수위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업권별로 보면 저축은행과 여신전문회사 연체율 관리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은행 연체율이 0.2%인 것에 비해 저축은행 4.7%, 여전사 2.4%입니다.

가계대출 중 고위험가구 대출비중만 해도 저축은행은 26.6%, 여전사는 16.6%로 은행(7.2%), 상호금융(11.6%), 보험회사(12.4%)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 회수율 하락 등 우려.. 연체 관리 등 주문

또 고위험 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도 높아 대출자산 회수율도 예상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고위험 가구 대출 중 신용대출 비중은 34.1%, 여전자는 41.1%로 높습니다.

한국은행 측은 "고위험 가구 부실로 인해 앞으로 일부 비은행권 중심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며 "연체율 상승 정도, 금융기관의 손실흡수 능력 등을 두루 감안할 때 금융시스템 전반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자본 적정성 비율은 저축은행 13.3%, 여전사 17.8%로, 규제 비율이 7~8% 선인 것에 비하면 높은 수준입니다.

관련해 한국은행 측은 "은행권은 정부와 함께 고위험가구와 이에 근접한 가구의 재무상황, 개별 금융기관의 연체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와 연체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