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이자도 못갚는 건설사 36%…5곳은 우발채무 자본의 5배"
기사내용 요약
한은 "우발채무 현실화시 부실위험 커져"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건설사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일부 건설기업의 경우 상당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 될 경우 부실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우발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한 건설사도 5곳에 달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23년 3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비금융 상장기업 중 건설업 72곳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취약기업' 비중이 36.1%로 전년(28.9%)보다 큰 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기업은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전체 72개 건설사의 총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인 이자보상배율은 3.0배로 2021년(6.5%) 대비 상당폭 하락했다.
부채 대비 자산비율인 유동비율도 149.5%로 2021년 말(166.8%) 보다 하락했다. 1년 이내에 상환 만기가 돌아오는 유동부채가 1년 이내에 현금화 가능한 유동자산보다 많은 유동비율 100% 미만인 '유동성우려기업' 비중도 18.1%로 전년(13.3%)에 비해 상승했다.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은 107.9%로 2021년 말(97.4%)보다 상승했으나, 부채가 자기자본의 200%를 초과하는 과다부채기업 비중은 19.4%로 전년(27.7%)보다 하락했다.
건설기업의 중위 부실 위험(기업이 1년 후 부도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0.613%로 2021년 말(0.603%)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부실 위험이 5%를 초과하는 '부실위험 기업' 비중도 2.8%도 전년과 비슷했다.
한은은 "최근 부동산경기 위축, 미분양주택 누증 등 건설업 영업환경 악화로 건설기업의 재무건전성이 다소 저하되면서 부실위험이 소폭 증대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재무제표 이외 항목인 부동산 관련 채무보증을 감안할 경우 우발채무 현실화시 일부 건설기업의 부실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우려된다.
실제 지난해 부도가 발생했던 중소 건설사인 우석건설(충남)과 동원건설산업(경남)의 경우, 2021년 주요 재무비율들이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으나, 각각 광주 주택사업 부진, 대구 근린상가 미분양 등으로 인해 단기 유동성이 부족해지면서 어음 부도가 발생했다.
한은에 따르면 72개 상장 건설기업 중 32개 기업이 PF 대출 및 유동화 증권에 대한 채무 보증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일부 기업은 자기자본의 두 배를 넘어서는 PF 채무 보증을 제공했다.
중도금 대출 보증 등 기타 채무 보증을 모두 포함할 경우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를 보유한 건설사는 44개로 나타났다. 특히 5개사는 우발 채무 규모가 자기자본의 5배를 초과했다.
또 지방 중소 건설기업은 대기업 및 수도권 소재 중소 건설기업에 비해 한계기업 및 부실위험기업 비중이 더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이 외부감사 대상인 건설기업(대기업 307개, 중소기업 1306개)을 활용해 중소 건설사의 재무위험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지방소재 중소 건설기업의 부실 위험이 수도권 소재 기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산 결과 한계기업 비중은 대기업은 9.4%였으나 중소기업은 15%에 달했다. 또 수도권 중소기업은 13.4%, 지방 중소기업은 16.7%로 더 높았다. 부실위험 기업도 대기업은 5.5%에 불과하나 중소기업은 11.9%로 더 높았다. 수도권 중소기업의 부실위험 비중은 11.1%였으나 지방은 12.8% 였다.
한은 관계자는 "상장 건설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 이지만, 우발채무 현실화시 일부 기업의 부실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며 "재무제표상 재무비율로 평가한 부실위험이 이미 5%를 초과한 기업은 물론, PF 채무보증 제공 규모가 큰 건설기업과 이들이 시공·보증한 PF사업장에 대한 미시적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중소 건설기업의 경우, 재무비율이 양호하더라도 부동산 PF관련 유동성 충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분양을 통해 자금이 공급돼 최종 청산되는 부동산 PF의 특성을 고려할 때, 부동산 PF 부실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부동산경기의 연착륙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옥경이 치매 멈춰"…태진아, 5년 간병 끝 희소식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女BJ에 8억 뜯긴 김준수 "5년간 협박 당했다"
- 김정민 "月 보험료만 600만원…형편 빠듯"
- 홍진호, 기흉수술 후 아빠 됐다…"콩콩이도 잘 나와"
- 곽튜브, 이나은 논란 마음고생 심했나 "핼쑥해져"
- "새로 산 옷이라"…마약 옷에 젹셔 비행기 타려던 20살
- '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딸 최초 공개…꿀 뚝뚝
- '양육권 소송' 율희, '업소 폭로' 최민환 흔적 지웠다…영상 삭제
- "승차감 별로"…안정환 부인, 지드래곤 탄 트럭 솔직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