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국 개발 mRNA 방식 백신 첫 사용 승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제약사가 개발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이 중국 당국의 첫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다.
앞서,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식품의약국이 중국 워선 바이오가 개발한 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긴급 사용 승인했지만, 중국 내 승인은 이뤄지지 않았다.
중국은 그동안 시노팜과 시노백 등 자국 제약 업체가 개발한 전통적 불활성화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왔고, 외국 업체가 개발한 mRNA 백신의 사용은 승인하지 않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세계 대유행]
중국 제약사가 개발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이 중국 당국의 첫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다.
23일 <신경보> 보도 등을 보면, 중국 스야오 그룹은 자사가 개발한 mRNA 백신이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건의와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의 동의를 거쳐 중국에서의 긴급 사용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이 개발한 mRNA 방식 코로나 백신으로는 중국에서 처음 사용 승인을 받은 것이다. 앞서,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식품의약국이 중국 워선 바이오가 개발한 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긴급 사용 승인했지만, 중국 내 승인은 이뤄지지 않았다.
스야오 그룹은 지난해 4월 당국의 긴급 승인을 받아 임상 시험을 실시했고, 5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테스트에서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가 검증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그동안 시노팜과 시노백 등 자국 제약 업체가 개발한 전통적 불활성화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왔고, 외국 업체가 개발한 mRNA 백신의 사용은 승인하지 않았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위드 코로나’ 전환 뒤 1~2월까지 대규모 감염 사태를 겪었으며 현재는 감염 규모가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중국 의료 당국은 앞으로 2~3차 감염 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세훈의 ‘이상한 유럽 출장’ …‘핫플’ 돌며 개발계획만
- 주범에서 공범으로…이재명 기소 뒤 민간사업자 재판 전략은?
- 주120시간→92→69→60…대통령실이 키운 노동시간 논란
- [단독] 윤경림, KT 대표이사 후보 사의 표명…이사들과 간담회서
- 전국에 반가운 봄비…반갑지 않은 중국발 황사도 함께 왔다
- 소싸움 대회 다시 열려…전통이냐 학대냐 싸움도 다시
- 칠레, ‘주 4일제’ 법안 만장일치로 상원 통과
- 카카오·쿠팡 믿고 쓴 건데…빅테크 “모르쇠”에 농락당하는 개인정보
- “검찰 독재 퇴진”…정의구현사제단 ‘시국미사’ 전국서 연다
- 오므라이스 한 그릇과 바꾼 윤석열의 ‘도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