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어드벤트와 협력…목표는 “안정적, 저렴한 MEA 개발”

박소현 매경닷컴 기자(mink1831@naver.com) 2023. 3. 23. 09: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홍승현 상무와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 최고운영책임자(COO) 짐 코페이(Jim Coffey)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초고온형 수소연료전지 기술 고도화를 위해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와 공동 연구에 착수한다.

현대차·기아는 고온형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생산 업체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이하 어드벤트)’와 함께 수소 사회 대중화를 위해 손을 잡는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MEA란 수소연료전지에서 산소와 수소간 결합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부품을 일컫는다.

이날 현대차·기아는 미국 보스턴의 어드벤트 본사에서 초고온 수소연료전지용 MEA 개발을 위해 어드벤트사와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어드벤트는 고온형 연료전지용 MEA 생산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미국의 수소연료전지 소재 생산 업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2월부터 약 1년간 어드벤트와 공동 연구를 수행해 셀 단위 출력 개선을 통해 MEA 생산 성능을 향상시킨 바 있다.

이번 협약은 2024년 말까지 초고온 수소연료전지용 MEA 및 스택의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최대 200℃에서 정상 작동되는 초고온 연료전지 시스템은 100℃ 이하에서 구동하는 저온형 연료전지에 비해 안정적이며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현재 상용화된 저온형 수소연료전지는 백금 촉매를 기반으로 하기에 많은 양의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기가 필요하다. 반면 초고온형 연료전지는 비교적 적은 양의 촉매로도 구동 가능하며 별도의 가습 장치가 필요 없어 시스템 단순화가 수월하다. 현대차그룹은 초고온에서도 작동하는 수소연료전지 기술은 친환경 모빌리티 확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자체 개발한 이온전달소재 및 촉매를 어드벤트에 공급한다. 어드벤트는 이를 활용해 초고온 연료전지 구동에 필요한 MEA 생산과 공정 기술을 지원한다. 생산된 소재는 개발 단계별로 성능을 교차 검증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홍승현 상무는 “탈탄소화를 목표로 양사의 연료전지에 대한 노하우와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초고온 연료전지의 핵심 소재를 개발할 것”이라며 “이는 현대차·기아의 소재 기술 전문성을 입증하고 최고 수준의 고온 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고온 응용분야에서 연료전지 기술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드벤트 테크놀로지 바실리스 그레고리우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협업을 통해 현대차·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전략 실현을 지원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더 깨끗하고 효율적인 미래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온실가스 감축에 큰 영향을 줄 혁신적인 고성능 연료전지 솔루션 구축이라는 현대차·기아의 목표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