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미국 향해 “북한 합리적 우려 호응해야”

이종섭 기자 2023. 3. 22. 08: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러시아 크렘린궁에서 가진 만찬 행사에서 건배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을 향해 “실제 행동으로 북한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우려에 호응해 대화 재개의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러는 21일(현지시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 이후 낸 공동성명에서 “양측은 한반도 정세에 우려를 표명하고 관련 각측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고 국면 완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두 나라는 또 성명에서 “양측은 시종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수호 및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주장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 메커니즘을 수립할 것으로 공동으로 주창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측은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력을 취해서는 안 되고 그것은 통하지도 않으며, 대화와 협상만이 한반도 문제 해결의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양국은 이어 “양측은 계속해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며 ‘쌍궤병진(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 동시 추진)’의 사고와 단계적·동시적 행동 원칙에 따라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끊임없이 추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 성명에는 “화해를 권하고 협상을 촉진하는 중국과 러시아의 공동 노력에 관련 각측이 적극 호응하고 이 과정에서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중국과 러시아의 이번 성명은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 등 도발 행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대북 포용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과 러시아의 감싸기로 향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제제 등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도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 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