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국립창극단 '정년이', "얼씨구"가 절로…이렇게 신나는 국악이 있었나

신연수 2023. 3. 21. 18: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악이 이렇게 신나고 유쾌했던가.

그림과 말풍선뿐이던 만화에서 노래와 춤, 연기가 어우러진 '원조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정년이'는 화려하고 신선했다.

지난 17일 개막한 국립창극단의 '정년이'는 같은 이름의 웹툰을 토대로 만들었다.

윤정년이란 인물을 통해 여성 소리꾼의 열정과 꿈을 담은 이번 작품은 국립창극단 단원들의 실제 이야기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의미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든 배역 여성이 맡는 '여성국극'
연기·노래 어우러진 '전통 뮤지컬'
접하기 힘든 창극 입문용으로 제격
여성 소리꾼들의 열정과 꿈 그려
1950년대 극장에 앉아있는 듯
정년이 배우 '팔색조 연기' 일품
정년이만 보이는 건 아쉬운 대목
다른 인물 이야기는 휙 지나가
국립창극단 배우 이소연(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배우들이 '정년이'를 공연하는 모습. 국립극장 제공


“얼씨구, 허이!”

국악이 이렇게 신나고 유쾌했던가. 객석 곳곳에서 추임새가 터져 나온다. 그림과 말풍선뿐이던 만화에서 노래와 춤, 연기가 어우러진 ‘원조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 ‘정년이’는 화려하고 신선했다. 스토리가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는 등 꼬집을 구석은 있지만, 평소 접하기 힘든 ‘창극 입문용’으론 괜찮은 작품임이 틀림없다.

지난 17일 개막한 국립창극단의 ‘정년이’는 같은 이름의 웹툰을 토대로 만들었다. 목포 소녀 윤정년을 비롯해 여성국극단의 성장과 연대를 그린 작품으로, 2020년 ‘올해의 양성평등 문화콘텐츠상’을 받은 수작이다. 남인우(연출·공동 극본)와 이자람(작창·작곡·음악감독)이란 걸출한 예술가들을 만나 창극으로 변신했다.

여성국극은 뮤지컬처럼 소리와 춤, 연기가 한데 담긴 종합예술이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배역을 여성이 맡는다는 점이다. 윤정년이란 인물을 통해 여성 소리꾼의 열정과 꿈을 담은 이번 작품은 국립창극단 단원들의 실제 이야기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의미가 있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무대 위 여성국극단의 모습은 웹툰의 창극화, 판소리의 현대화에 올인한 국립창극단의 모습을 빼닮았다.

창극 ‘정년이’의 가장 큰 매력 포인트는 지루할 틈이 없다는 점이다. 일단 볼거리가 풍성하다. 매란국극단이 극중극 형태로 ‘춘향전’ ‘자명고’ 등의 작품을 연습하고 무대에 올리는 과정이 그렇다. 장구, 가야금, 거문고, 피리 등 국악기 소리는 관객의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웃음이 떠나지 않는 객석에 앉아본 게 언제였던가. 매란국극단이 무대를 꾸밀 때마다 1950년대 극장에 앉아 있는 느낌이 들었다. 극중극이 끝났을 때 모든 공연이 마무리된 줄 알고 나갈 채비를 하는 관객도 눈에 띄었다.

윤정년 역을 맡은 국립창극단 소속 배우 이소연과 조유아에겐 관객을 빨아들이는 힘이 있었다. ‘국극단의 스타가 되겠다’는 꿈 많은 소녀의 모습과 좌절을 딛고 일어서는 의지의 여성상까지 그야말로 ‘팔색조 연기’를 보여줬다. 정통 판소리부터 현대적 요소를 가미한 창작 음악, 신민요 등 다양한 소리를 두 시간 내내 무리 없이 소화해냈다. “정년이를 위한, 정년이에 의한 극”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정년이만 돋보인 것은 이 작품의 한계이기도 하다. 눈길이 가는 다른 인물은 찾아보기 힘들다. 137회에 달하는 원작 웹툰을 두 시간짜리 무대 언어로 압축하다 보니 이야기 흐름이 뚝뚝 끊기는 느낌도 들었다. 정년의 엄마이자 과거 전도유망한 소리꾼이던 채공선 이야기와 정년의 라이벌 허영서 등 국극단 단원에 대한 서사는 말 그대로 휙 지나가 버린다.

정년의 이야기에서도 차곡차곡 쌓지 않고 급하게 풀어낸 대목이 있었다. 좌절을 딛고 다시 용기를 얻는 부분이 그랬다.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권부용과의 러브스토리도 마찬가지다. ‘팬심’이 한순간에 ‘사랑’으로 변하려면 뭔가 설명이 있어야 했다.

그럼에도 의미 있는 도전이다. 웹툰을 창극으로 만든 첫 시도라는 점에서, 여성국극이란 생소한 장르에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어린아이부터 노년층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점도 매력 포인트다. 공연은 오는 29일까지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