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불펜 포수, 美 현지서 잠적→‘정치적 망명’ 전망

동아닷컴 조성운 기자 2023. 3. 21.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참가한 쿠바의 불펜 포수가 미국 현지에서 잠적했다.

쿠바 야구 선수들이 국제대회 기간 동안 망명을 시도하는 일은 적지 않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쿠바 선수들의 잇단 잠적과 망명이 문제가 되자, 쿠바야구협회와 망명하거나 탈출하지 않고도 메이저리그에서 뛸 수 있는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지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를 무효로 하면서 쿠바 선수들의 망명 시도가 다시 늘어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닷컴]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동아닷컴]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참가한 쿠바의 불펜 포수가 미국 현지에서 잠적했다. 망명을 시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마이애미 지역 매체 마이애미 헤럴드는 “WBC 쿠바 대표팀이 21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마이애미 국제공항을 통해 쿠바로 돌아갔다”고 같은 날 전했다.

이어 “하지만 쿠바의 불펜 포수 이반 프리에토가 공항에 나타나지 않았다”며 “쿠바는 프리에토를 빼고 귀국했다”고 언급했다.

쿠바 리그에서 8시즌 동안 뛴 프리에토는 이번 대회에 불펜 포수 자격으로 참여해 경기에는 나서지 않았다.

프리에토는 곧 미국으로의 망명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교적 흔한 경우. 쿠바 야구 선수들이 국제대회 기간 동안 망명을 시도하는 일은 적지 않다.

지난 2021년 10월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23세 이하(U-23)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한 쿠바 선수 9명이 개최국 멕시코에서 자취를 감췄다.

앞서 같은 해 6월에는 2020 도쿄올림픽 대륙 최종 예선 기간 오른손 투수 앤디 로드리게스 등이 망명을 선택했다.

무단 잠적한 쿠바 선수들은 정치적 망명을 선언한 뒤 메이저리그 등 해외 프로 팀과의 계약을 노린다. 이러한 선수는 수백 명에 달한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쿠바 선수들의 잇단 잠적과 망명이 문제가 되자, 쿠바야구협회와 망명하거나 탈출하지 않고도 메이저리그에서 뛸 수 있는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지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를 무효로 하면서 쿠바 선수들의 망명 시도가 다시 늘어났다.

WBC 조직위원회는 이번 대회에서 망명한 선수들이 쿠바 대표팀 소속으로 뛸 수 있도록 허가했다. 이에 2016년 쿠바에서 탈출한 루이스 로버트가 쿠바 대표팀 소속으로 나섰다.

한편, 쿠바는 지난 20일 열린 미국과의 대회 4강전에서 전력의 역부족을 드러낸 끝에 2-14로 패해 탈락했다.

동아닷컴 조성운 기자 madduxly@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