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량 수도권 '회복세' 지역은 여전히 '침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수도권의 거래량은 회복되고 있지만 지방은 여전히 침체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지난 1월 66.6%보다 3.3%p 하락했다.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국기준 73.6으로 지난달 대비 2.5p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밑으로 부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분양가격전망지수는 92.9로 지난달 대비 7.8p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을 넘기지는 못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수도권의 거래량은 회복되고 있지만 지방은 여전히 침체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지난 1월 66.6%보다 3.3%p 하락했다.
서울이 79.2%에서 79.7%로, 인천·경기가 73.2%에서 75.8%로 각각 입주율이 오르면서 수도권은 75.2%에서 77.1%로 전월대비 1.9%p 상승했다.
반면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5.2%p 하락했고, 기타 지역도 63.9%에서 60.1%로 떨어졌다.
미입주 원인 중에는 ‘기존 주택 매매 지연’이 41.7%에서 44.4%로 상승했다. 세입자 미확보(39.6%→33.3%), 잔금대출 미확보(14.6%→14.3%), 분양권 매도 지연(4.2%→1.6%) 등은 비중이 모두 소폭 줄었다.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국기준 73.6으로 지난달 대비 2.5p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밑으로 부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서울과 울산이 각각 20.3p(61.9→82.2), 20.6p(50.0→70.6)로 전망지수가 대폭 상승하면서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회복세는 더딘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이 지난 달 대비 16.1p(86.7→70.6) 떨어져 가장 크게 하락했고, 광주 8.6p(80.0→71.4), 강원 7.7p(76.9→69.2), 경북 7.6p(90.0→82.4), 제주 5.6p(77.8→72.2), 세종 4.1p(68.8→64.7), 충남 0.9p(84.2→83.3) 낮아졌다. 지방 중소도시의 분양시장이 빠르게 식고 느리게 회복되는 현상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가격전망지수는 92.9로 지난달 대비 7.8p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을 넘기지는 못했다. 이는 1·3대책 이후 매수 심리가 다소 회복되고 있지만 연이은 미분양물량 증가 등 여전히 사업자들의 분양일정 확정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지난달 보다 7.8p오른 84.5를 기록했다.
ⓒ 강원도민일보 & kado.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창에 '공포의 날파리떼' 극성… "수천마리 무리지어 날아다녀"
- 같은 학원 여학생 ‘능욕사진’ SNS에 유포한 중학생 법정 구속
- 원희룡 “분양가 아직 높다…미분양 10만호까지 각오”
- 교육위, '정순신 아들 학폭 청문회' 野 단독 의결… 이달 31일 청문회 개최
- 수상한 교통사고? 사망한 아내 외상이 없다…경찰, 강력범죄 의심 수사
- 민주 "예금 보호 한도 5천만원에서 1억으로 상향"
- “곰팡이 피고 부서진 폐가 수준의 군간부 숙소…이마저도 나가라해”
- 우리 동네에도 JMS가?… 강원지역 ‘이단’ 목록 공유 활발
- ‘더글로리’ 동은과 여정이 찾은 소돌방파제 핫플 예감…김은숙 작가의 각별한 고향사랑
- [천남수의 視線] “오므라이스 나오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