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기온 460도’ 금성에서 용암 뿜는 화산 찾았다

곽노필 2023. 3. 21. 1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트기 전 동쪽 하늘에서 빛날 땐 '샛별', 해가 진 뒤 서쪽 하늘을 밝힐 땐 '개밥바라기'.

과학자들은 금성에서도 여전히 화산 활동이 진행중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지만 그동안 명확한 징후는 발견하지 못했다.

미국 페어뱅크스 알래스카대 과학자들이 30년 전의 금성 관측 데이터를 다시 살펴보다가 최근까지도 금성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났다는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해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 제54차 달행성과학 회의에서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년 전 관측 자료 다시 분석해 확인
폭발 아닌 분출…하와이 화산과 비슷
지구·이오와 함께 활화산 천체군 합류
마젤란 탐사선이 촬영한 금성 표면. 왼쪽 `마트 몬스' 화산의 검은색 직사각형이 이번에 화산 활동 증거가 발견된 곳이다(왼쪽). 1991년 2월(A사진)과 10월(B사진) 사이에 ‘마트 몬스’ 정상 북쪽의 활화산 분출구가 커지고 모양도 바뀌었다(오른쪽). 나사 제공
현재 유일한 금성 탐사선인 일본의 아카츠키가 2016년 12월 자외선으로 촬영한 금성. 대기층이 두꺼워 표면은 보이지 않는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다빈치플러스 탐사선이 금성 표면을 향해 내려가고 있는 모습(상상도). 나사 제공
금성에서 가장 높은 화산인 ‘마트 몬스’의 3D 이미지. 미국의 마젤란과 옛소련의 베네라 탐사선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완성한 사진이다. 나사 제공

동트기 전 동쪽 하늘에서 빛날 땐 ‘샛별’, 해가 진 뒤 서쪽 하늘을 밝힐 땐 ‘개밥바라기’.

우리 조상들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금성을 이렇게 불렀다. 금성은 밤하늘에서 태양, 달에 이어 세번째로 밝게 빛나는 천체다. 그래서 예로부터 아침 일찍 일을 나가거나 저녁 일을 마치고 돌아오는 사람들의 길동무 노릇을 했다. 그만큼 인류에게 친숙한 천체로, 무한한 상상력의 무대가 되어 숱한 전설과 신화를 낳았다. 현재 태양계 탐사의 중심은 화성이지만 과거 행성 탐사를 시작한 1960년대에 가장 먼저 탐사선을 보낸 대상도 금성이었다.

금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지구와 질량과 크기, 밀도가 가장 비슷한 천체다. 반지름이 6052km로 지구(6371km)보다 불과 319km 작다. 중심부에 철 성분의 핵이 있고 이를 암석 맨틀이 감싸고 있는 등 내부 구조도 비슷하다. 이는 지구와 비슷한 정도의 열을 갖고 있다는 걸 뜻한다. 그렇다면 지구와 거의 비슷한 지질학적 메카니즘이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그 가운데 하나가 화산 분출이다. 지구에선 연 평균 50여개의 화산이 분출한다. 과학자들은 금성에서도 여전히 화산 활동이 진행중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지만 그동안 명확한 징후는 발견하지 못했다.

금성의 탐사 환경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이다. 대기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인 금성은 강력한 온실 효과로 인해 표면 기온이 460도에 이르고 기압은 90배가 넘어 탐사선을 착륙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대기층이 두껍고 조밀해 궤도선에서 금성 표면을 들여다보는 것도 녹록지 않다. 이는 1970년대 이후 금성을 탐사 후순위로 밀어내는 요인이 됐다.

마젤란과 파이오니어금성궤도선의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한 금성 표면 지도. 마트 몬스 화산은 검은색 네모 안에 있다. 나사 제공

그런데 최근 꺼진 불이 다시 살아났다. 미국 페어뱅크스 알래스카대 과학자들이 30년 전의 금성 관측 데이터를 다시 살펴보다가 최근까지도 금성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났다는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해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 제54차 달행성과학 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번 발견으로 금성은 지구, 목성 위성 이오와 함께 활화산이 있는 태양계 천체군에 합류하게 됐다.

연구진이 들여다본 것은 1990년 8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금성 궤도를 돌았던 마젤란 탐사선이 보내온 레이더 관측 자료다. 마젤란은 금성 표면 전체를 촬영한 최초의 탐사선이다. 마젤란은 레이더 기술을 이용해 최대 100미터 해상도의 금성 표면 지도를 작성했다. 이에 따르면 금성 표면의 80% 이상이 용암류로 덮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용암이 언제 분출한 것인지는 알 수가 없었다. 간간이 구름 사이로 들여다본 결과 암석의 나이가 어리고 대기중 이산화황 수치의 변화도 화산 활동이 있었음을 시사했으나 확실한 증거는 되지 못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