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부족 반도체 “석·박사급 육성 시급”…특성화대학원 3곳 이달 말 지정
3월 말~4월 초 선정…5년간 150억원 지원
반도체 인력 2031년 5만4000명 부족 예상
팹리스 설계 등 시스템 경쟁력 특히 부실
“석·박사급 필요…대학원 수 늘려나갈 것”
정부가 올해 반도체특성화대학원 3곳을 선정해 5년간 최대 15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힌 가운데, 전국 10개 이상 대학이 대학원 설립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심사에 착수한 정부는 이달 말이나 4월 초쯤 반도체특성화대학원 3곳을 확정하고, 오는 2학기부터 신입생 교육에 착수한다.
전문인력 부족 현상에 고심 중인 국내 반도체 업계는 정부가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비롯한 각종 인재 육성 정책에 더 많은 지원을 쏟아붓길 희망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 등 반도체 분야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서는 석·박사급 연구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 반도체특성화대학원에 5년간 150억원 지원
21일 관계부처와 학계에 따르면 반도체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의 반도체특성화대학원 3곳 설립 추진에 전국 10개 이상 대학이 도전장을 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숫자와 대학 이름을 밝힐 단계는 아니지만, 내로라하는 주요 대학 대부분이 신청서를 냈다”며 “현재 심사 단계이고, 이달 말에서 내달 초쯤 3곳을 최종적으로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작년 7월 발표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에서 “내년에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신규 지정해 교수 인건비와 기자재, 연구개발(R&D)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후 실무 작업을 거쳐 올해 1월 30일 반도체특성화대학원 지정·지원 신청에 관한 통합 공고를 냈다.
공고에서 산업부는 “반도체특성화대학원 3곳을 선정해 대학당 연간 30억원씩 최대 5년간 150억원 안팎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지원 내용에는 인건비, 교육 환경 구축비, 교육 과정 개발·운영비, 기업과 연계한 산학 프로젝트 교육비 등이 포함된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수업을 시작하는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통해 반도체 분야 석·박사급 인재 5000명을 키워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이달 15일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에서도 “우리나라는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첨단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제조 역량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원 수준과 규제 여건은 아직 부족하다”며 “기업의 현장형·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교육부 소관)과 대학원을 7월까지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 시스템 반도체 취약한 업계 “석·박사급 확보 시급”
반도체 업계는 정부가 반도체 고급 인력 양성에 더 적극 나서주길 바라고 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달 1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학술심포지엄에 참석해 “마이크론이 똑똑하게 만들어놓으면 인텔이 데려가고, 마이크론은 빈자리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사람으로 채운다”며 “학·석·박사 기준으로 2031년에는 총 5만4000명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고 했다.
지난해 7월 정부가 “오는 2031년까지 반도체 전문인력을 15만명 이상 키우겠다”고 선언한 것도 업계의 위기감을 잘 알아서다. 정부는 반도체특성화대학원 신규 지정뿐 아니라 비(非)전공 학생에 대한 반도체 복수전공·부전공 과정(2년)인 ‘반도체 브레인 트랙(brain track)’도 30개교에서 운영한다고 했다. 또 민관 합동 반도체 인력 양성 기관인 ‘반도체 아카데미’를 통해서는 5년간 3600명 이상의 현장 인력을 양성한다.
업계는 특히 석·박사급 인력 육성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역량을 끌어 올리려면 전문가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를 전(全)주기로 보면 ‘설계(팹리스)-제조(파운드리)-조립(후공정)’으로 이어진다. 한국은 시작점인 팹리스에서부터 설계 전문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시스템 반도체 점유율은 2021년 기준 3.0%에 불과하다. 3.6%였던 2015년과 비교하면 되레 0.6%포인트(P) 하락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산업부는 반도체특성화대학원을 계속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반도체특성화대학원 3곳 지정을 시작으로 예산 당국과 잘 협의해 그 수를 계속 늘려나가겠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중분해 위기說’에 출렁인 롯데그룹, 임원 인사 ‘촉각’
- [똑똑한 증여] “불효자에겐 유산 없다”… 요즘 뜨는 신탁 200% 활용법
- “몇천만원 매물에도 주가 휘청거려요”... 거래 부진에 신음하는 코스닥 소형주
- “상장 2년 만에 주가 90% 빠졌는데 또 악재?”… 답답한 새빗켐 주주들
- [LA 오토쇼] 현대차, 아이오닉9 이어 수소차 ‘이니시움’도 첫 공개
- 친환경 투자 나선 건설사들… 美 트럼프 정책에도 영향 받나
- [단독] 부실 새마을금고 전국에 131개… 3개월 만에 2배 증가
- 페루로 진격하는 韓 방산… 변수는 초대형 항구 틀어쥔 中
- [단독] 강남 한복판서 분양사기 친 간 큰 시행사… 연예인·은행원도 당했다
- 트럼프 장남과 '호형호제'… 정용진 회장 인맥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