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값 오르는데...유류세 인하 축소 유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내달말 종료 예정인 휘발유·경유 등 유류세 인하 조치를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 안팎에서는 유류세 인하 기간을 연장하되, 인하폭은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올 들어서는 휘발유 유류세 인하 폭을 25%로 축소했으나 경유와 LPG부탄에 대해서는 여전히 37% 유류세 인하를 적용 중이다.
현재 휘발유와 경유에 부과하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종료할 경우 각각 리터당 205원, 212원의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세수 손실 5.5조…1월 교통세 전년 대비 1000억↓
국제유가 안정세 속, 에너지요금발 물가 상승 우려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정부가 내달말 종료 예정인 휘발유·경유 등 유류세 인하 조치를 추가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 안팎에서는 유류세 인하 기간을 연장하되, 인하폭은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유류세 인하 폭 축소가 여전히 높은 수준인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유류세 인하가 지난 1년여간 지속되면서 세수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재정당국의 부담이 커졌다. 지난해 국세 수입 실적을 보면 작년 교통·에너지·환경세수는 11조1164억원으로 전년대비 5조4820억원(-33.0%)이나 감소했다. 특히 경기가 하강 단계에 진입하며 연초부터 세입 여건은 극도로 악화됐다. 지난 1월 국세 수입은 42조9000억원으로 전년대비 6조8000억원 감소했다. 유류세가 포함된 교통세(1조원)는 1년 전보다 1000억원 줄어 감소세를 지속했다.
정부는 당장 유류세를 환원시키기보다는 단계적으로 인하 폭을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유류세 인하 폐지로 휘발유, 경유 가격 급등할 경우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휘발유와 경유에 부과하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종료할 경우 각각 리터당 205원, 212원의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우선 경유 유류세 인하 폭을 휘발유 수준(25%)으로 낮춘 뒤, 서서히 인하 폭을 줄여가는 방식으로 파장을 최소화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휘발유 유류세 인하 폭이 27%에서 25%로 축소되면서 전국 평균 가격은 리터당 1597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12월2일 리터당 1569원으로 떨어진 이후 약 4개월 만에 1600원에 근접한 셈이다. 지난달 말 역전한 경유와의 가격 격차도 심화하는 추세다. 이날 전국 주유소 경유 평균 판매가는 1538.75원으로, 휘발유와 경유 가격 차이는 58.65원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유류세 인하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면서 “조만간 시행령 개정안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류세 인하 연장은 국회 동의 없이 정부가 국무회의 등을 거쳐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을 개정하면 된다.
이지은 (jeanlee@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열흘새 8억원 오른 압구정 현대…원희룡 "국민사기, 반드시 응징"
- "ㅇㅇㅇ에 버림받은 박연진"...유시민, 이인규 '더글로리'에 빗대
- 애 있는 유부남이 총각인 척… 연락두절 신혼 남편 수소문했더니
- 카카오 전 CEO 2인, 지난해 300억원대 '돈방석'
- "112죠? 군인이 총들고 다녀요"…정체 알고보니
- 노현정, 올해도 옥빛 한복...고 정주영 22주기, 현대가 모여
- 아가동산,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 취하
- 청년 50만명 “취준도 안하고 쉬었다”…역대 최대
- 낮 경기에 뿔난 마요르카 감독 “한국 팬, 이강인 경기 안 봤으면”
- 아내·아들에 살해당한 가장… 생전 메모엔 “가족 보면 힘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