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한 나라` 한국...행복순위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

박양수 2023. 3. 20. 21: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례 세계행복보고서…스스로 평가한 '삶의 질' 설문
한국, OECD 38개 회원국 중 끝에서 4번째
북유럽 핀란드 6연패…"전쟁 뒤 행복도 러↑ 우크라↓"
팬데믹·우크라전 이후 지구촌 '타인돕기 실천' 증가세
한국의 거리 풍경. [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폭격 피해. [연합뉴스]

각국의 사람들이 자신의 전체적 삶의 질을 평가해 매긴 '행복 점수'에서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끝에서 4번째로, 최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리·뉴욕·쿠알라룸푸르에 사무소를 둔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세계행복보고서'(WHR)를 발간했다.

올해 보고서를 보면 한국인들이 스스로 매긴 주관적 행복도 점수의 평균은 10점 만점에 5.951점이었다. 조사대상 137개국 중 57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이 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주관적 안녕(SWB)에 관한 연례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내놓는다. 여기엔 조사 직전 3년치 데이터를 반영해 점수와 순위가 산출된다.

올해 보고서에는 2020∼2022년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됐다.

2012년부터 발간된 보고서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사회적 지원, 기대 건강수명, 부정부패 지수 등과 점수와의 연관성을 사후적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점수 자체는 이런 요인들과 무관하게 오로지 설문조사 응답 데이터만 이용해 계산한다.

우리나라는 대체로 평균점 6점 안팎으로, 약 150개국 중 40∼60위권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2021년 보고서에선 5.845점으로 149개국 중 62위, 2022년에는 5.935점으로 146개국 중 59위였다.

올해 보고서 기준으로 OECD 정회원국 38개국 중 한국보다 행복도 점수가 낮은 곳은 그리스(5.931점, 58위), 콜롬비아(5.630점, 72위), 튀르키예(4.614, 106위) 등 3곳뿐이었다.

행복도 1위는 핀란드(7.804점)로, 6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10위권 국가엔 북유럽 국가들이 많이 들어있다. 덴마크(7.586점), 아이슬란드(7.530점), 이스라엘(7.473점), 네덜란드(7.403점), 스웨덴(7.395점), 노르웨이(7.315점), 스위스(7.240점), 룩셈부르크(7.228점), 뉴질랜드(7.123점)가 2∼10위에 들었다.

이어 11∼20위에는 오스트리아(7.097점), 호주(7.095점), 캐나다(6.961점), 아일랜드(6.911점), 미국(6.894점), 독일(6.892점), 벨기에(6.859점), 체코(6.845점), 영국(6.796점), 리투아니아(6.763점)가 포함됐다. 프랑스(6.661점)는 21위였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 52위였으나 6년간 순위가 꾸준히 상승해 올해 20위권에 들었다.

아시아권에선 싱가포르(6.587점, 25위), 아랍에미리트(6.571점), 대만(6.535점)이 25∼27위로 가장 순위가 높았다. 사우디아라비아(6.463점, 30위), 바레인(6.173점, 42위), 카자흐스탄(6.144점, 44위), 일본(6.129점, 47위), 우즈베키스탄(6.014점, 54위), 말레이시아(6.012점, 55위)도 한국보다 높았다.

태국(5.843점, 몽골(5.840점, 61위), 중국(5.818점, 64위), 인도(4.036점, 126위) 등은 한국보다 낮았다.

올해 보고서에 수록된 137개국 중 행복도 점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아프가니스탄(1.859점)이었다. 하위권은 거의 모두 저개발 국가들이었다.

작년부터 전쟁중인 러시아는 5.661점으로 70위, 우크라이나는 5.071점으로 92위였다. 이는 올해 보고서에 실린 2020∼2022년 3년치 데이터에 따른 것이다.

2021년과 2022년에 실시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침략국인 러시아 국민들의 행복도가 이 기간에 올랐다.반면 침략을 당한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행복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코로나 사태 전인 2017∼2019년과 코로나 사태 기간인 2020∼2022년을 비교해 보면 세계 전체의 행복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