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합의 처리 불발된 양곡관리법 개정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20일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쟁점법안인 양곡관리법 개정안 합의 처리를 재차 촉구했으나 여야의 팽팽한 의견 차이만 재확인했다.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지난 1월 30일 민주당 등 야권의 강행으로 본회의에 직회부됐다.
민주당은 지난달 27일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려 했지만 김 의장이 여야 합의를 요구하며 직권으로 표결을 뒤로 미뤘다.
김 의장은 양곡관리법의 원만한 여야 합의처리를 위해 2차례 중재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20일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쟁점법안인 양곡관리법 개정안 합의 처리를 재차 촉구했으나 여야의 팽팽한 의견 차이만 재확인했다. 국민의힘은 추가 협의를 통한 합의를 요청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여당이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예정대로 오는 23일 본회의 표결처리를 분명히 했다.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지난 1월 30일 민주당 등 야권의 강행으로 본회의에 직회부됐다. 민주당은 지난달 27일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려 했지만 김 의장이 여야 합의를 요구하며 직권으로 표결을 뒤로 미뤘다. 김 의장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본회의에 개정안을 상정,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의장은 양곡관리법의 원만한 여야 합의처리를 위해 2차례 중재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처음엔 쌀 초과 생산량을 3-5%, 가격 하락 폭을 5-8%로 조정하고, 쌀 재배 면적이 증가하면 매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예외조항을 담은 중재안을 제시했으나 여당이 거부해 불발됐다. 이후 쌀 의무매입 요건이 되는 초과 생산량을 9% 이상, 전년 대비 가격 하락 폭은 15% 이상으로 완화하고, 이때 국회가 정부에 매입을 '권고'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새 중재안을 제시했으나 여야 입장차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민주당이 법안 처리를 강행할 경우 대통령 거부권 행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게 된다.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쌀값 폭락을 막고 농민을 보호한다는 취지다. 국민의힘은 국가재정을 낭비하고 쌀 과잉 생산을 부추기는 등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있다.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예상되는 부작용이 적지 않다. 소비는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는데, 남아도는 쌀을 앞으로는 정부가 전량 의무 매입한다면 과잉생산을 부추길 게 뻔하다. 쌀값 하락의 주원인은 수급 불균형이다.
여야는 무엇이 진정으로 농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손쉽게 생산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쌀농사의 특성에 맞춰 보완책이 강구돼야 한다. 대체 작물을 논에서 재배하는 것도 생각해 볼 일이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 좀 더 현실적인 해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휴가 중 사망 천안시 서북구청장 사인 '급성 심장마비' - 대전일보
- 김민석 총리 "세종주간 집중근무로 충청에 국가행정력 집중" - 대전일보
- "올스타전 보고 대전 맛집 어때?"… 한화 선수들이 꼽은 맛집 공개 - 대전일보
- 대전·충남, 52년만 최고기온 경신… 첫 사망자도 발생 - 대전일보
- 金 총리는 다를까… '세종주간' 약속에 쏠린 충청의 눈 - 대전일보
- 대전 온 김민석… 연일 불볕더위에 쪽방촌 현장 점검 - 대전일보
- 박찬대, 윤상현 압수수색에 "국회로 체포동의안 오는 즉시 통과" - 대전일보
- "추돌사고 내고도 들이받은 차 밀고 주행" 세종 버스기사 입건 - 대전일보
- 해수부 이전은 시작에 불과? 산하기관 추가 이탈 그림자 - 대전일보
-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수백억 원 분담… 구멍 뚫린 지방곳간 골머리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