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르는 고독사…직접 대문 두드리고, AI 등 첨단기기까지 도입

권혜정 기자 2023. 3. 20. 16: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년 고독사 사망 3378명…선제적 발굴·24시간 밀착 감시
"고독사 방지 정책, 적극적으로 변화…치밀한 연결이 중요"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구의 한 다세대주택 반지하에서 홀로 살던 6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주민센터 직원의 신고로 발견된 남성의 시신은 당시 부패가 진행된 상태로, 나홀로 죽음을 맞은 뒤 일정 시간 방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앞서 이달 초에는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거주하던 40대 중증장애인 조카와 70대 이모가 숨진 지 10일 만에 발견되기도 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주택 지하에서 세 모녀가 나란히 숨진 채 발견되며 복지 시스템에 경종을 울린 '서울 송파구 세모녀' 사건이 발생한 지 9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당시 복지 사각지대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각종 대책을 쏟아냈지만, 여전히 홀로 쓸슬히 생을 마감하는 비극적인 사건은 끊이지 않고 있다.

고독사가 더이상 우리 사회에서 방치할 수 없는 현안으로 떠오르자 복지부는 지난해 말 처음으로 '고독사 실태조사'에 나섰다. 복건복지부의 '2022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고독사로 세상을 떠난 이들은 무려 3378명에 달한다.

20일 복지부 등에 따르면, 고독사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17년 2412명이던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18년 3048명, 2019년 2949명으로 잠시 주춤했으나 2020년 3279명, 2021년 3378명으로 늘었다. 5년 사이 무려 40% 이상 증가한 셈이다.

전체 사망자 대비 고독사 비율도 2017년 0.8%에서 2018년과 2019년 1%에 진입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1.1%로 늘었다.

고독사 사망자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서울시는 물론 각 자치구들은 고독사 막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과거 관리 대상에 고독사 위험이 있는 위험가구를 포함하는 것에 급급했다면 이제는 이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사물인터넷(IoT) 등 각종 첨단기기를 통해 24시간 밀착 케어하는 방식으로 발전한 것이 큰 특징이다.

지난해 두번째로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에 나선 서울시는 올해 '우리동네 돌봄단' 1200명을 선발해 더욱 강화된 복지안전망 구축에 나섰다. '우리동네 돌봄단'의 특징은 지역을 잘 아는 주민들로 구성해, 더욱 실질적인 감시와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취약층 및 복지사각지대 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 안부 확인을 하고 복지서비스 등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각종 첨단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지난 2020년부터 시행 중인 '스마트 플러그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시는 기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간 중심으로 운영했던 것에서 야간과 공휴일까지 365일 24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또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TV, 전자레인지 등 자주 사용하는 가전 제품의 전력량과 조도 변화를 모니터링해 위험신호를 감지하고, 인공지능(AI)를 활용한 24시간 '스마트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위기 관리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자료사진) ⓒ News1 이재명 기자

자치구도 1인 가구 돌봄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금천구는 자체적으로 고독사 고위험 1인 가구 10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 시범 사업을 운영 중이다.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NUGU)를 보급해 24시간 긴급 SOS 서비스, 감성 대화, 음악재생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상자가 '살려줘', '구해줘' 등 위험신호를 보내면 24시간 운영하는 관제센터에서 즉시 119에 연계해 구조한다. 대상자가 부정 표현을 사용할 경우 심리 상담을 제공한다. 48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동주민센터에서 직접 안부를 확인한다.

기존 복지 시스템으로는 고독사 등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노원구는 전국 최초로 지역 내 모든 세대의 '대문 살피기'에 나섰다. 지역 주민을 '대문 살피미'로 지정해 동별로 지정된 월 2회 '대문 살피기 날'에 아파트와 오피스텔, 일반주택을 정기적으로 순찰해 세대 우편함에 고지서나 독촉장 등이 쌓여 있는지 확인하고 위기 가구로 의심되면 직접 문을 두드려보고 관리사무소나 이웃 등을 통해 세대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양천구는 '얼굴인식 블랙박스 도어락'을 도입한다. 현관 모니터링 기능이 가능한 블랙박스 기능을 도어락에 탑재해 홀몸 어르신 등의 도어락 출입 이력이 장기간 감지되지 않을 경우 관제센터에서 구청 복지부서로 즉시 연락해 확인한다.

강남구도 1인 취약가구에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스마트기기를 설치한다. 주로 움직임 감지센서를 설치했던 것에서 나아가 체온, 심박, 호흡과 같은 각종 생체신호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물론 자치구들이 고독사 관리를 위해 특별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관건은 이 같은 대책이 얼마나 현실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달렸다.

정순돌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ICT를 이용하는 등 고독사 위험 가구 발굴, 관리 대책이 과거에 비해 적극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는 있지만 대상자 발굴과 서비스로의 연결 부분이 얼마나 치밀하게 연결되느냐가 관건"이라며 "해당 부분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jung907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