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폭발실험미사일 ‘지하 사일로’서 발사된 듯…“탐지 어렵고 발사시간 단축”

정충신 기자 2023. 3. 20. 1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사 직전 지표면에서 ‘V형’ 화염 치솟아 …“핵반격 능력 강화” 목적
옆으로 분산되는 TEL 발사 때와 달라…軍 “다양한 요소 평가중”
지난 19일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발사한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 개량형 전술미사일이 발사 직전 지표면에서 V자형으로 화염이 치솟는 장면. 발사 징후 탐지가 어렵고 기습 발사가 가능한 ‘지하 사일로’에서 발사된 것으로 추정된다.조선중앙통신 캡처/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19일 발사한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 개량형 전술탄도미사일(SRBM) 화염이 ‘V(브이)자’ 형태로 나타나 ‘지하 사일로’에서 발사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지하 사일로’ 플랫폼 발사 시 정찰위성 등에 의한 징후 탐지가 어렵고, 발사 시간을 단축시켜 ‘핵반격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우려를 표시했다.

그간 북한은 KN-23을 이동식발사차량(TEL)이나 열차에 실은 TEL에서 발사했는데 이 때 화염은 바닥에서 옆으로 퍼지는 형태였다. 발사 때 화염과 연기가 V자 형태로 솟구치는 것은 지하에 만들어진 원통형 시설(사일로)이나 엔진을 시험하는 수직발사대 등에서 나타나는 모양이다.

조선중앙통신이 20일 공개한 SRBM 발사 사진을 보면 화염과 연기가 그동안 볼 수 없었던 V자 모양으로 솟구쳤다. 이를 두고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하에 구축한 사일로 형태의 발사대를 활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더욱이 발사 현장을 참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숲길을 헤치고 내려오는 사진도 공개해 동창리 위성발사장 인근 야산에 사일로와 같은 시설을 구축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지난 19일 지표면에서 올라온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 개량형 미사일이 상승하면서 발사 직전과 똑같이 V자형으로 화염이 치솟는 장면. 일반 이동식발사차량(TEL) 발사 때와는 다른 화염 형태다. 조선중앙통신 캡처/연합뉴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을 보면, 미사일이 발사되기 전 사일로로 보이는 장소 지표면에서 미사일이 솟아나는 가운데는 비어있고 양쪽으로 V자형으로 불꽃이 치솟는 모습이 보인다”며 “사일로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권 전 교수는 “TEL 발사와 달리 사일로 발사는 정찰위성 등 탐지가 어렵고, 고체연료 상태로 미리 준비가 된 상태에서 엄청나게 빨리 발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며 “북한이 발표한 대로 전술핵공격 임무수행 부대의 ‘핵반격능력 종합전술훈련’ 일환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KN-23 개량형을 이 정도 수준 사일로에서 발사한다면 우리 정찰자산으로는 징후 탐지 자체가 사실상 어려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KIDA) 북한군사연구실장은 “저러한(V자) 화염과 연기의 모양은 지하로 움푹 꺼진 구조물에서 발사가 이뤄졌다는 의미”라며 “북한이 새로운 SRBM 발사 플랫폼으로서 사일로를 추가하려는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이 실장은 “TEL로 쏘면 한 발씩 쏴야 하므로 TEL의 수가 곧 한국군 ‘킬체인’과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등의 표적수가 되지만 사일로 플랫폼을 갖추면 이를 대폭 늘릴 수 있다”며 “우리의 킬체인·KAMD 전력을 소진하고 피로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발사 장소나 건설 비용 대비 실익 등을 고려할 때 사일로가 아니라 지상의 고정 발사대를 시험용으로 이용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지만 사진으로 볼 때 가능성은 약하다는 분석이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정보분석관은 “발사 장소인 동창리에는 서해위성발사장이 있기 때문에 사일로보다는 서해위성발사장의 (수직 엔진시험)발사대 이용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고체 연료 엔진 추력을 키우려는 목적의 확장 공사로 추정됐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도 “북한이 핵탄두용 기폭장치 등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한 시험 발사를 동창리에서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기동성과 은밀성이 좋은 TEL을 두고 굳이 사일로를 건설할 실익이 없다”고 말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에 쓰이는 대형, 고비용 사일로가 아니라 SRBM 발사를 위한 최소한의 공간과 지붕만 설치하는 방식으로 다수 사일로를 운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상민 실장은 “구덩이와 지붕만 있는 단순한 형태의 사일로나 외형만 비슷한 가짜 사일로를 수천 개 만들어 놓는다면 우리 킬체인이 추적해야 할 표적이 급증하는 셈”이라며 “북한의 입장에서 TEL과 구덩이 사일로를 함께 활용하면 더 유리할 것”이라고 말다.

군은 달라진 발사 화염·연기 모양 등 이번 SRBM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 공개 보도에 나타난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충신 선임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