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집값 하락률 2위는 세종…1위는 어디? [부동산3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년 새 약 1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하락률이 가장 컸던 지역은 인천, 서울에서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지역은 노원구였다.
시도별로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21.5%를 기록한 인천이었으며, 그 밖에는 세종(-19.9%), 경기(-19.8%), 대구(-18.9%), 대전(-18.1%), 부산(-16.6%), 서울(-16.6%) 순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전년 동월대비 17% 하락
하락률 1위, 인천(-21.5%)…서울 -16.6% 기록
노원·도봉, -20.4%·-20.0%로 하락률 가팔라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년 새 약 1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하락률이 가장 컸던 지역은 인천, 서울에서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지역은 노원구였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자사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RED’를 통해 제공되는 아파트 가격지수의 연간 상승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23년 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의 전년 동월대비 변동률은 -17.2%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21.5%를 기록한 인천이었으며, 그 밖에는 세종(-19.9%), 경기(-19.8%), 대구(-18.9%), 대전(-18.1%), 부산(-16.6%), 서울(-16.6%) 순이었다. 추이를 보면 이른 침체를 겪은 대구와 세종을 제외한 타 지역은 대부분 2022년 7월부터 전년 대비 마이너스 추세로 돌아섰으며, 특히 2021년에 상승세가 컸던 경기, 인천 지역의 하락 전환이 가팔랐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3개 시도와 세종시는 올해 들어 하락세가 둔화되고 일부 반등이 시작되는 경향이 포착되고 있으나 여전히 전년대비 -10% 이상의 높은 하락률을 보였다.
서울 내에서도 지난달 기준 노원구와 도봉구의 가격이 전년 동월대비 각각 -20.4%, -20.0%로 가장 가파르게 하락했다. 이외에도 강동구(-19.1%), 구로구(-18.9%), 양천구(-18.9%), 금천구(-18.4%)등에서 상대적으로 하락률이 높았으며, 중심권의 3개 자치구(종로·용산·중구)는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하락률(-10.4%·-11.6%·-11.0%)이 낮았다.
주요 권역별 추이를 살펴보면 서초구가 하락률 -13.6%를 기록해 동남권에서 하락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동구는 작년 한 해 가격하락 속도가 동남권에서 가장 빨랐으나, 올해 들어서는 하락률이 줄어들고 반등이 시작되려는 추세가 포착되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직방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하락세가 큰 지역들은 공통적으로 저금리 시기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였던 곳이라고 분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당시는 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 매입자금 마련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개통예정 호재가 있으면서 가격은 비교적 저렴한 서울 외곽 및 경기·인천 지역에 대한 매수세가 강했다”며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지역이 되자 미국발 금리인상의 타격을 더 크게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함 랩장은 또, 최근 들어 수도권 3개 시도와 세종시에서 부동산 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그리고 단기간의 가격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일부 반등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데 대해 “지난 1년여 동안 아파트 거래량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음을 감안하면 고금리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긴 시간 관망 포지션으로 대기해야 했던 매수 희망자들이 일부 거래에 참여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적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등 긴축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 시점에서 섣부르게 향후의 시장 동향을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hwshi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상민 '70억 빚' 17년 만에 청산…"뉴 라이프 시작"
- ‘더글로리’ 현남 역 염혜란 “일상 속에서 용기 있는 아줌마들이 좋다”
- 대놓고 한국 조롱? 日 아이돌, 아는 한국말? “워 아이 니”
- 136kg 유명女모델 “사골국만 먹는 기네스 팰트로, 정상 아니다” 저격
- ‘우크라 참전’ 이근, 오늘 여권법 위반 첫 재판…뺑소니 혐의도
- “누가 요즘 노트북 들고 다녀?” 1만명 몰린 ‘공짜 노트’ 정체가
- 노홍철·김영철·김호영, 옆에 두면 지칠 것 같은 하이텐션 스타
- “삼성 쓸데없이 왜 접어” 조롱하던 아이폰, 몰래 ‘이렇게’ 만든다
- “2천→6천원, 안 시켜 먹고 말지?” 배달 이용자 매달 ‘뚝뚝’ 빠진다
- 하이닉스 다니는 동창 느긋한 이유 있었네…이천·강릉·논산 집값 뛰었다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