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 신재생에너지 공급 목표, 기업 수요 고려해 최소 33%로 높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현행 에너지 정책으로는 2030년까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재생에너지 공급량을 충족할 수 없어 최소 11.4% 이상 보급 목표를 상향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정부가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21.6%를 공급하면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참여 기업의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대치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 전력구매계약(PPA) 등 정부 재정 투입 없이 보급 확대 가능한 제도 합리성 높여야
정부의 현행 에너지 정책으로는 2030년까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재생에너지 공급량을 충족할 수 없어 최소 11.4% 이상 보급 목표를 상향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정부가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21.6%를 공급하면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참여 기업의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대치된다.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CoREi)는 20일 기후환경단체 플랜1.5와 공동으로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 중장기 수요를 추정한 ‘2030년 국내 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국내 최대 전력 사용기업인 삼성전자를 비롯,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한다는 RE100에 가입한 국내 기업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을 2030년 기준 30.2%에서 21.6%로 낮췄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2030년 재생에너지 수요는 최대 172.3TWh(테라와트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정부가 제10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제시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치는 136.1TWh이다.
RE100 달성이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 의무 이행에 활용할 수 없는 화석연료 기반의 연료전지,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등 이른바 ‘신에너지'를 제외하면, 태양광과 풍력을 통해 공급 가능한 재생에너지는 ‘30년 기준 97.8TWh에 그친다는 설명이다.
기업 재생에너지 이니셔티브는 이는 ‘현 목표 수준으로도 기업 수요를 맞추기에 충분하다'는 산업부의 주장과는 달리 기업에서 필요한 수준의 약 56% 정도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권경락 플랜 1.5 활동가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미래 재생에너지 수요를 분석했을 때, 제10차 전기본에서 제시한 ‘30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21.6%는 턱없이 부족하며, 최소한 33% 수준까지 재상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제출한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이하 CDP)에 취합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미래 재생에너지 수요를 예측했다.
기업의 전력사용량, 재생에너지 조달 목표, 전력 사용으로 인한 간접배출(Scope 2), 중단기 감축 목표 등 기업의 미래 재생에너지 수요 추정에 필요한 핵심적인 데이터 대부분은 CDP 응답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수요 분석 대상 기업은 총 236곳으로(중복 제외), RE100에 참여한 국내 기업 29곳 외에도(23년 3월 기준),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해외 기업 중 국내 진출한 기업(119개), CDP에 제출한 답변서 내 재생에너지 조달 목표를 별도로 명시했거나(13개), 간접배출(Scope 2)에 대한 감축 목표를 별도로 제출한 기업(67개), K-RE100 가입 기업(4개)이 분석 대상에 포함됐다.
이선미 UNGC 한국협회 팀장은 "중소중견기업 등 여건상 재생에너지 전환에 비교적 늦게 동참하게 되는 기업들의 경우에도 공급사의 탄소배출 감축 요구 등 재생에너지 사용 압력에 점점 더 직면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보고서에서는 기업의 PPA 확대를 위한 장애 요소를 개편하는 것을 정부의 최우선 순위 정책 과제로 꼽았다. PPA의 경우 "추가성이 높을 뿐 아니라 전력가격 변동성과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고, 정부 차원에서도 국가의 추가적 재원 없이 재생에너지를 확대할 수 있어 '정부와 기업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정책 옵션'"이라고 제언했다.
반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녹색 프리미엄' 제도의 경우, 재생에너지 추가성이 없을뿐더러 기업 입장에선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점 등으로 인해 "전력 사용으로 인한 간접배출량(Scope2)을 감축해야 하는 기업에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선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한국 파트너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태한 수석연구원은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도 공급망 배출량에 대한 기업 공시 의무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며 "재생에너지도 산업 경쟁력 관점에서 '공급 폭탄'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