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쿼터 9점에 그친 LG, 후반전 2점에 그친 이재도

손동환 2023. 3. 20.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도 이재도(180cm, G)도 마지막에 웃지 못했다.

창원 LG는 지난 19일 창원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22~2023 SKT 에이닷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원주 DB에 59-65로 졌다. DB전 5연승 실패. 그리고 33승 17패로 1위 안양 KGC인삼공사(35승 15패)와 2게임 차로 벌어졌다. 3위 서울 SK(32승 18패)에 한 게임 차로 쫓겼다.

LG는 2020~2021시즌 종료 후 전력을 보강했다. 전력 보강의 핵심은 이재도였다. 계약 기간 3년에 2021~2022 시즌 보수 총액 7억 원(연봉 : 4억 9천만 원, 인센티브 : 2억 1천만 원)의 조건으로 이재도와 계약했다.

이재도는 안정감과 공격력을 겸비한 포인트가드다. 2020~2021시즌 변준형(185cm, G)-전성현(188cm, F)-문성곤(195cm, F)-오세근(200cm, C) 등과 함께 ‘PERFECT 10’의 주역이었다. ‘KBL 역대 최초 플레이오프 10전 전승 우승’의 멤버였다.

이재도가 지닌 또 하나의 강점이 있다. 내구성이다. 이재도는 2014~2015 시즌부터 현재까지 정규리그 385경기를 연달아 뛰고 있다.(군 복무 기간 및 대표팀 차출 기간 제외) KBL 역대 연속 경기 출전 기록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재도를 영입한 LG는 ‘이재도-이관희’라는 확실한 백 코트 조합을 갖췄다. 그러나 2021~2022시즌 내내 백 코트 조합의 위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재도와 이관희(191cm, G) 모두 자기 가치를 보여주지 못했다.

2022~2023시즌에는 달라져야 했다. 이재도 역시 그 점을 인지했다. 그래서 승부처를 많이 책임졌다. 잘 되는 경기도 많았지만, 그렇지 않은 경기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재도는 “승부처가 되면, 해줘야 할 선수들이 있다고 본다. 나와 마레이가 공을 많이 가지고 하기에. 나와 마레이가 승부처에서 해줘야 한다고 본다”며 승부처 활약을 필수로 생각했다.

이어, “우리 팀이 졌을 때, 내가 승부처에서 많이 놓쳤다. 그렇다고 해서, 시도를 안 하면 안 된다. 그렇게 되면, 나라는 선수는 거기서 멈추는 거다. 시도를 해야 만회를 할 수 있다. 나 때문에 져도 개의치 않으려고 한다”며 승부처를 즐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최근 경기에서 중요한 순간들을 많이 책임졌다.

하지만 LG와 이재도는 험난한 여정을 치렀다. DB전을 포함해, 4일 동안 3경기. 그 중 마지막 경기였기에, 선수들의 체력 부담이 전반적으로 컸다. 이재도를 포함한 LG 선수들의 공격 성공률이 전반적으로 낮았던 이유.

그렇다고 해서, LG의 수비와 속공이 잘된 것도 아니었다. 이재도가 두 가지 요소에 힘을 싣지 못했다. 1쿼터 종료 4분 47초 전 벤치로 물러났다. 양준석(181cm, G)이 이재도를 대신했지만, LG의 경기력은 나아지지 않았다. 1쿼터 종료 1분 41초 전 13-20으로 밀렸고, 조상현 LG 감독은 경기 첫 번째 타임 아웃을 사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는 DB와 간격을 좁히지 못했다. 2쿼터 시작 1분 56초 만에 이재도를 다시 투입했다. 이재도는 양준석과 합을 맞췄다. 양준석이 볼 운반과 경기 조립을 할 줄 알기에, 이재도는 자기 공격과 자기 수비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그렇게 공격 감각을 끌어올렸다. 2쿼터 종료 4분 16초 전 정면에서 첫 번째 3점을 터뜨렸다. 그 후에는 오른쪽 엘보우 지역에서 원 드리블 점퍼 성공. 2쿼터 종료 1분 50초 전에는 아셈 마레이(202cm, C)의 스크린을 활용한 후, 오른쪽 윙에서 3점을 터뜨렸다.

22-32로 밀렸던 LG는 이재도의 활약으로 동점(32-32)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재도의 파트너인 양준석이 2쿼터 마지막을 책임졌다. 마레이의 스크린을 활용한 후, 미드-레인지 점퍼 성공. 양준석이 2쿼터 마지막 득점을 해내면서, LG는 34-33으로 경기를 뒤집었다.

상승세를 주도한 이재도는 3쿼터 초반 정체됐다. 박찬희(190cm, G)나 김현호(184cm, G) 등 노련하고 수비력 뛰어난 가드진을 상대해야 했기 때문. 또, 2쿼터에 몰아쳤기에, 휴식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했다.

LG 벤치도 이재도의 그런 상황을 고려했다. 3쿼터 시작 3분 42초 만에 이재도에게 휴식을 준 이유. 그렇지만 양준석과 윤원상(181cm, G), 이관희 등 다른 가드진이 제몫을 했다. LG는 3쿼터 종료 3분 40초 전 48-43으로 달아났다.

이재도는 충분한 휴식 후 코트로 다시 나섰다. 마침 LG의 공격이 가뭄일 때, 이재도가 다시 나섰다. 1대1 이후 오른쪽 엘보우에서 미드-레인지 점퍼 성공. LG는 2점 차 우위(50-48)로 3쿼터를 마칠 수 있었다.

이재도는 3쿼터까지 12점을 넣었다. 3점슛 2개 성공에 3점슛 성공률 약 67%. 그러나 LG가 승리를 확정짓기 위해, 이재도의 득점이 필요했다. 이재도 같은 해결사가 해줄 때, LG가 얻는 힘이 더 크기 때문.

그래서 이재도는 더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2대2에 이은 바운스 패스로 단테 커닝햄(203cm, F)의 파울 자유투를 이끌었다. 1대1 돌파로 DB의 팀 파울 상황도 만들었다. 남은 시간은 5분 3초였다.

하지만 이재도는 DB 앞선 수비에 막혔다. LG 역시 점점 밀렸다. 결국 역전 허용. LG가 59-63으로 밀릴 때, 이재도가 추격 3점을 시도했지만 실패. LG는 결국 뒷심 부족으로 울었다. 이재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2쿼터에 10점을 몰아넣고도, 후반전 득점력 저하로 역전패에 웃지 못했다. 29분 1초 출전에 12점 2어시스트 1리바운드 1스틸로 DB전을 마쳤다.

사진 제공 = KBL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