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문제 해결' 세계박람회로"...집단지성 솔루션 '웨이브' 론칭

정옥재 기자 2023. 3. 19. 17: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30 엑스포 유치를 위한 새로운 도전의'물결(WAVE)'이 시작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환경, 인권을 지구촌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전 세계인의 아이디어를 모으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솔루션 플랫폼 웨이브(thewave.net)를 지난 17일 공식 개설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의, 글로벌 지구촌 문제해결 WAVE 출범
개인이 홈피에서 질문, 관련 기업들 해법

# 장면 1. ‘한국에만 음식쓰레기가 500만 t이라는데 어쩌죠?’를 웨이브(Wave)에 물었다. 한국의 스타트업 ‘누비랩’은 “푸드 스캔(Food Scan) 어때요? 급식실에서 내가 담은 식판을 스캐너에 갖다 대면, 섭취할 음식의 영양성분, 칼로리 그리고 어제 먹었던 영양소 등이 나와요.” 자연스레 내가 먹을 만큼만 담는다. 실제 해당 스캐너로 한 기관의 하루 배출 잔반량은 45kg까지 줄었다 한다.

웨이브 첫 화면 모습


대한상공회의소는 환경, 인권 등 지구촌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전 세계인의 아이디어를 모아보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솔루션 플랫폼 웨이브(thewave.net)를 17일 공식 개설했다. 사진은 17일 오후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WAVE 온라인 쇼케이스에서 박진희 배우가 ‘박진희의 에코라이프’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대한상의 제공


# 장면 2. ‘해양쓰레기는요?’ 전 세계 매년 120만 톤에 달하는 폐 어망이 방치되고 있다는데, 소셜벤처 넷스파는 이렇게 답했다. “폐 어망에서 나일론을 뽑아낼 수 있어요. 나일론으로 옷도 만들고 자동차 부품도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부산시와 대기업(LG화학, 효성 TNC)도 나섰다. “우리가 폐어망을 수거하고, 분리하고, 소재로 가공해서 제품화까지 하는 해쓰 자원순환체계를 만들겠다.”

# 장면 3. 베트남인이 물었다. “세계 3위 수출국, 베트남에서 새우 잡으려다 맹그로브 숲 잡겠어요.” 새우 양식장 조성을 위한 무분별한 벌목, 화학품 사용으로 맹그로브숲에서 어마한 탄소가 발생한다는데 SK 이노베이션, SK 어스온이 나섰다. “지난 2월부터 베트남 농업부와 맹그로브숲에 묘목심기 하는데 함께 하시겠어요?” 이외에도 재미있는 제안들이 뒤를 잇고 있다.

2030 엑스포 유치를 위한 새로운 도전의‘물결(WAVE)’이 시작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환경, 인권을 지구촌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전 세계인의 아이디어를 모으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솔루션 플랫폼 웨이브(thewave.net)를 지난 17일 공식 개설했다. 이 플랫폼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신기술 등을 통해 당면 과제에 대한 해결책 또는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해 나간다는 게 대한상의 설명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웨이브는 기존 엑스포처럼 멋진 건축물을 짓고 나라마다 국가관을 만들어 6개월간 전시하며 관광객을 모으는 것에서 벗어나겠다는 시도”라며 “전 인류적 문제를 같이 고민하고 소통하는 항구적인 엑스포를 디지털플랫폼으로 구현해 보자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시·공간을 초월해 상시적인 논의가 가능한 엑스포를 만들자는 제안은 부산엑스포의 차별화 포인트다.

웨이브는 집단지성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발전시키고 실행하는 자발적 솔루션 플랫폼이다.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글을 직접 작성해 관심을 촉구하거나(참여하기), 다른 사람의 글에 공감을 표현하고 댓글을 통해 의견이나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된다(둘러보기).

‘참여하기’ 제안은 우선 관심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범위(글로벌, 국가, 지역)와 주제를 지정한다. 주제는 환경, 기후변화, 친환경에너지, 교육, 의료·위생, 장애인·아동, 도시·사회 인프라, 기술혁신, 빈곤·기아 등 10개 키워드에서 선택할 수 있다.

문제 해결 절차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공개될 ‘웨이브 나우(WAVE NOW)’에서는 제안글과 해결 방안이 매칭이 된다. 매칭은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이나 기관에서 제안글에 댓글을 직접 달거나, 기업에서 알리고 싶은 기술을 역으로 제안해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 구조다.

물결을 보다 넓히기 위해 제이슨 솅커(블룸버그 선정‘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금융 예측가이자 미래학자’)를 비롯해 외국계 방송인 줄리안 퀸타르트, 다니엘 린데만, 아누팜 트리파티가 홍보대사로 참여한다. 이 외에도 국내외 인플루언서 100인을 서포터스로 선정해 확산에 힘쓸 계획이다.

대한상의 우태희 부회장은 “웨이브는 인류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기업, 시민, NGO 등 전 세계 이해관계자가 머리를 맞대는 글로벌 커뮤니티를 지향한다”며 “대한민국 상공인들이 나서 웨이브가 만들어갈 더 나은 세상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려달라”고 희망했다.

우 부회장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되면 지속가능한 엑스포를 만드는 첫 시도”라며 “이번 웨이브를 잘 발전시켜 부산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치르고 다음 유치국에 전수, 계승하여 미래 세대를 위한 희망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