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SaaS 시장규모 1조원 불과 … 전방위 지원책 절실

나현준 기자(rhj7779@mk.co.kr) 2023. 3. 19. 15: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보화 예산 한해 5조원이지만
관련산업 투자액 쥐꼬리 그쳐
"민관펀드로 윈윈 모델 만들어야"

매년 급성장하는 SaaS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이에 걸맞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 그 출발점이 바로 '클라우드'다.

SaaS 업계는 글로벌 시장 혁신 속도에 자칫 정부가 보조를 맞추지 못해 시장 추격의 기회를 놓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상황이다.

예컨대 우리 정부의 한 해 정보기술(IT) 정보화 예산은 5조원 안팎이다. 문제는 해당 예산의 상당수가 비클라우드·비SaaS 분야 제품 구매에 쓰이고 있다.

단적으로 중앙정부와 각종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IT 시스템 1만7243개 가운데 18.0%(3100개)만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다.

올해 클라우드 전환율 역시 3.3%(576개)에 불과하다. 업계는 최소한 5년 안에 정부의 모든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국산 SaaS 개발 및 투자를 매년 '조단위'로 대대적으로 단행해야 한다고 호소한다. 그래야 시장이 급속도로 커가면서 인재도 모이고 이 중 글로벌화할 수 있는 SaaS 업체가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 같은 지적에 공감하며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IT 정보화 예산은 신규와 보수로 나뉠 수 있는데, 향후 신규로 들어가는 예산 약 2조원 중 상당수를 클라우드 및 SaaS 구매에 사용해야 할 것"이라며 "다만 중소기업과 일자리 보호 등 비클라우드 업체들을 상대로 한 제품 구매 등 정부 입장에서는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혁신 산업 촉진의 첨병 역할을 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SaaS 기업을 키우겠다며 올해 250억원(50개 기업 대상)을 투자하기로 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는 "정부와 업계가 힘을 합쳐서 1조원가량의 펀드를 만들고, 이 펀드를 기존 SI 업체들을 SaaS 기업으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하면 갈등을 최소화하고 서로 윈윈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SaaS 산업에 맞는 새로운 산업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반기에 더 구체화될 국내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제도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도 교차하고 있다.

아직 실증단계여서 확정되진 않았지만 업계는 과기정통부가 공공 부문 클라우드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센터를 '정부존'과 '상업존'으로 나누고, 정부존 구축에 보다 많은 무게를 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존은 더 많은 백업 서버를 둬야 해서 상업존 대비 2배 이상 구축 비용이 소요된다. 미국의 경우 공공 부문 IT 시스템의 클라우드화에 상업존(80%)을 적극 채택하고 있다. 전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클라우드 시장의 혁신 속도, 그리고 보안 기술의 발전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시장 규제를 낮추고 있는 것이다.

반면 보안 우려를 지나치게 의식해 정부존을 강제할 경우 SaaS 업체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측은 "실증 사업을 진행 중으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하반기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현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