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지킨 거북선 형체, 영화나 드라마 나온 모습과 다르다”

이정호 기자 2023. 3. 19.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연석 전 항우연 원장 “1795년 설계도 발견”
“임진왜란 때도 같은 형태 선체 썼을 가능성”
1795년 만들어진 설계도를 바탕으로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현한 거북선이 바다를 항해하는 상상도. 거북선의 가장 꼭대기인 3층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길쭉하고 좁은 복도처럼 생겼다. 유클리드소프트 제공
1795년 발간된 설계도에 따라 재현한 실제 거북선의 65분의 1 축소 모형. 이정호 기자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당시 왜적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구한 거북선의 실제 외형이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모습과 상당히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갑판 전체에 지붕을 둥글게 씌운 형태가 아니라 중앙 갑판 부분에 판자를 세우고 지붕을 쌓은 구조라는 주장이다.

국내 전통무기 전문가인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19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현한 거북선의 항해 상상도와 선체 축소 모형을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그의 주장은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해양’ 최신호에 실렸다.

1795년 편찬된 ‘이충무공전서’ 내 ‘귀선도설’. 여기에는 거북선의 설계 내용이 기록돼 있다. 채연석 전 한국항공연구원장 제공

채 전 원장은 정조 재위 기간인 1795년에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라는 서적 속 단원인 ‘귀선도설’이 거북선 설계도라고 밝혔다. 1793년부터 1년간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신대현이 1809년 순조에게 올린 상소에서 귀선도설이 거북선 기본 설계자료로 쓰였다는 사실을 언급한 기록도 확인됐다고 했다.

거북선은 유물로 전해지는 실제 선체가 없다. 이 때문에 확실한 모양새를 알기 어려웠는데 이번에 거북선의 정확한 외형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열쇠를 얻은 셈이다.

채 전 원장의 연구에 따르면 1795년 설계도에 따른 거북선의 가장 큰 특징은 3층 형태다. 1~3층으로 구성된 거북선은 그간 3층 전체가 ‘개판’이라고 불리는 지붕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고 알려져 왔다. 영화나 드라마에 많이 등장하는 거북선의 형태도 이를 본뜬 것이다.

하지만 채 전 원장은 귀선도설을 분석한 끝에 기존 통념이 사실과 다르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실제 모습은 거북선 선체 중앙에 앞뒤로 좁고 길쭉한 복도를 내듯 3층을 만들어 개판을 씌웠다는 얘기다.

개판의 크기는 아래 폭 4.7m, 위 폭 3.7m, 높이는 1.6m였다. 여기에는 소형 함포를 양쪽에 설치할 수 있었다. 채 전 원장은 1894년 발간된 ‘통제영 해유문서’를 근거로 2층에 4문, 3층에 27문 등 총 31문의 함포로 거북선이 무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거북선 3층의 특이한 구조는 무게 중심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채 전 원장은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가진 언론 설명회에서 “거북선의 가장 윗부분인 3층 구조를 가볍고 간단하게 만들어야 항해할 때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채 전 원장은 “거북선과 기본 구조가 같은 ‘판옥선’에서는 전투 중 수군들이 배의 한쪽으로 몰리자 무게 중심이 쏠리며 침몰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앞뒤로 길쭉하고 폭이 좁은) 3층 구조 때문에 거북선은 무게 중심이 쏠리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채 전 원장은 1795년 설계에 따른 거북선 형태가 거북선이 처음 등장한 16세기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봤다. 세월이 흘러 3층 모양새가 진화한 게 아니라는 뜻이다. 거북선처럼 국가적으로 중요한 무기는 건조 과정에서 임의대로 모양새를 바꿀 수 없었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지휘했던 거북선도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거북선과 형상이 같았을 공산이 크다.

채 전 원장은 “이번 거북선 연구는 2016년부터 시작했다”며 “거북선은 세계에 내놓을 만한 유산인 만큼 지속적으로 연구를 더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