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사상 최대 수익에도…4년간 일자리 4444개 감소

김수정 기자 2023. 3. 19. 09: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이른바 '돈 잔치' 비판을 받은 은행권의 고용 창출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국내 점포(지점·출장소·사무소)는 4014개로 2018년 말(4732개) 대비 718개 감소했다.

이처럼 은행 직원 수는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은행권이 사상 최대 수익을 올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이른바 ‘돈 잔치’ 비판을 받은 은행권의 고용 창출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사상 최대 수익을 올려도 오히려 고용 규모는 감소하고 있다.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금융 거래가 늘면서 오프라인 점포나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수도 급감하고 있다.

19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직원 수는 모두 6만9751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18년 말(7만4195명)과 비교하면 4444명 감소한 것으로, 매년 1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줄어든 셈이다.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은행의 직원 수가 1만6978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8년 말(1만8071명)과 비교하면 1093명 줄었다. 4년간 직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은행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으로 각각 1만5389명과 1만3229명에서 1만3913명과 1만1753명으로 1476명씩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만3995명에서 1만3604명으로 391명 감소했고, NH농협은행은 1만3511명에서 1만3503명으로 8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지난해 말 기준 이들 5대 은행의 임원 수는 142명으로 2018년 말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KB국민의 임원 수가 이 기간 24명에서 39명으로 15명 늘었고, 신한(30→32명)과 NH농협(21→23명)은 2명씩 증가했다. 반면, 하나(35→24명), 우리(32→24명)는 임원 수가 감소했다.

코로나19 기간 인터넷 및 모바일뱅킹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은행 오프라인 점포와 ATM은 급감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국내 점포(지점·출장소·사무소)는 4014개로 2018년 말(4732개) 대비 718개 감소했다.

NH농협의 지난해 말 기준 점포 수가 1114개로 5대 은행 중 가장 많았고, KB국민(856개), 신한(738개), 우리(713개), 하나(593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ATM 수는 2만3730개로 2018년 말(3만1096개)과 비교하면 4년간 7366개, 연평균 1842개가 사라졌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모습. /뉴스1

이처럼 은행 직원 수는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은행권이 사상 최대 수익을 올렸다. 지난해 KB국민이 5조원(5조1499억원)이 넘는 충당금 적립 전 이익을 기록했고, 신한(4조7201억원), 하나(4조4675억원), 우리(4조2369억원) 등도 4조원 대로 집계됐다. NH농협은 3조6865억원의 충당금 적립 전 이익(농업지원사업비 부담전 기준)을 올렸다.

이에 따라 지난해 은행 1인당 생산성은 크게 높아졌다. 직원 1인당 생산성은 충당금 적립전 이익을 직원 수로 나눈 값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3억8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3억4700만원), 우리(3억500만원), KB국민(3억300만원), NH농협(2억73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은행의 2018년 1인당 생산성이 2억원 안팎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대폭 높아진 셈이다. 2018년 1인당 생산성은 신한 2억4200만원, 하나 2억1100만원, NH농협 2억300만원, KB국민 1억8400만원, 우리 1억6200만원 등이었다.

지난해 은행 점포당 생산성을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75억34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63억9600만원)과 KB국민(60억1600만원)도 60억원이 넘었다. 이어 우리가 59억4200만원, NH농협이 33억900만원이었다. NH농협은 은행 특성상 수익성이 낮은 지역 점포를 많이 유지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