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겨울은 평년보다 추웠다…경기도, 대설·한파 종합대책 추진 결과

박상욱 기자 2023. 3. 19. 09: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2년 12월 경기도 평균기온은 영하 3.9도로 평년(영하 0.9도)보다 매우 낮아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추운 12월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연제찬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 시·군과 공조해 대설, 한파 피해 저감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면서 긍정적 효과를 얻었지만, 일부 인명 피해가 발생해 아쉽다"라면서 "대책 기간 중 미흡한 사항은 2023~2024년도 겨울철 대책 기간에 반영해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2022-2023 겨울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 종료
큰 피해 없이 도민 안전에 최선
대설특보(14일), 한파특보(53일) 평년보다 많아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 = 수도권 지역에 눈이 내린 2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망포역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환경미화원이 제설작업을 하고 있다. 2023.01.26. jtk@newsis.com


[수원=뉴시스] 박상욱 기자 = 2022년 12월 경기도 평균기온은 영하 3.9도로 평년(영하 0.9도)보다 매우 낮아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추운 12월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파에 따른 한랭 질환자와 수도시설 동파 사고가 일부 늘어났지만 자연 재난에 따른 큰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겨울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2022년 11월 15일~ 2023년 3월 15일) 중 대설·한파 종합대책 추진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대책 기간 중 경기도의 평균기온은 영하 1.9도로 평년(영하 1.3도)보다 낮았고, 한파특보는 53일로 최근 10년 평균(41.6일)보다 많았다. 강수량은 48.3mm로 평년(59.3mm)보다 적었지만, 적설 일수는 23일로 최근 10년 평균(16일)보다 7일 많았다. 대설특보 발효도 14일로 최근 10년 평균(7.8일)보다 많았다.

겨울 동안 대설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한파로 한랭 질환자(저체온증, 동상 등)는 사망 2명을 포함해 93명으로 작년 겨울 37명(사망 0명)보다 많이 발생했다. 수도시설 동파는 2682건(계량기 2632건, 수도관 50건)으로 작년 겨울 2178건(계량기 2100건, 수도관 78건)보다 계량기 동파 사고는 늘었지만 수도관 사고는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도는 인명 피해와 도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생활밀착형 대책들을 선제적으로 추진했다.

대설 대책은 도-시·군간 제설상황 공유와 경계·접속구간 관리 강화에 중점을 뒀다. 제설제 21만 3000여t을 확보하고 장비 1800여 대, 자동제설 장치 434곳을 가동해 상습결빙구간 468곳, 시·군간 경계 도로 254개 노선, 수도권 주요 연결도로 38개 구간에 제설제 14만 2000여t을 사용해 도민 불편이 없도록 했다. 아울러 강설 후 터널, 교량 등 도로 살얼음 방지 홍보와 시·군에 주행용 소형 제설장비와 보도형 제설함 지원도 강화했다.

한파 대책은 취약계층 보호에 집중했다. 난방비 부담 없는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한파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 6802곳에 난방비 27억 원을 지자체 최초로 추가 지원했고, 재난 안전 특별교부세 13억 원을 투입해 온열 의자, 방풍 시설 등 한파 저감시설을 확충했다. 도내 취약계층 20만여 명(취약노인 5만 4000명, 건강 취약계층 15만 명 등)에 대해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 67만 건, 건강관리(안부 확인 등) 31만 건, 거리 노숙인 응급 잠자리 제공 등 상시 보호 지원 대책을 추진했다.

연제찬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 시·군과 공조해 대설, 한파 피해 저감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면서 긍정적 효과를 얻었지만, 일부 인명 피해가 발생해 아쉽다"라면서 "대책 기간 중 미흡한 사항은 2023~2024년도 겨울철 대책 기간에 반영해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w78@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