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신약 렉라자 2차→1차 치료제로… 유한양행 얼마나 벌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한양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 레이저티닙)의 1차 치료제 변경허가를 신청했다.
1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약처가 렉라자를 1차 치료제로 허가하면 유한양행은 렉라자 매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한양행은 이전에 폐암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도 렉라자를 처방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 변경허가를 신청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약처가 렉라자를 1차 치료제로 허가하면 유한양행은 렉라자 매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한양행은 2022년 렉라자로 매출 약 330억원을 올렸다. 일각에서는 렉라자가 1차 치료제 허가를 받으면 연 매출 1000억원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렉라자는 2021년 1월 식약처로부터 2차 치료제로 품목허가를 받은 국산 31호 신약이다. 2차 치료제는 환자들이 가장 처음 쓰는 치료제인 1차 치료제로 치료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이 사용하는 약물이어서 시장 규모는 작다.
렉라자는 현재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에 변이(T790M 돌연변이)가 있는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 중 이전에 폐암 치료를 받은 적 있는 환자에 사용되고 있다.
유한양행은 이전에 폐암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도 렉라자를 처방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 변경허가를 신청한 것이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렉라자 1차 치료제 승인이 날 것이다"고 전망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국내 적응증 확대를 위한 변경허가를 신청했으며 허가를 받으면 1차 치료제로 더 많은 환자에게 치료 기회를 더 빨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한양행은 렉라자를 2015년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총 계약규모 1조4000억원에 기술수출했다. 현재 얀센 주도로 얀센의 이중항체 치료제 리브리반트(성분 아미반타맙)와 병용요법으로 글로벌 임상 시험 중이다.
최영찬 기자 0chan11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엎친데 덮친격" SVB 파산 이어 CS 위기설에 금융주 울상 - 머니S
- 지난해 이자만 10조 늘린 은행… 금융당국 "자본 더 쌓아라" - 머니S
- 김히어라, 차주영 몸매에 깜짝… "가슴에 ○○○ 뿌렸다" - 머니S
- 한소희 "송혜교, 이제는 내꺼야"… 비주얼 끝판왕 美쳤다 - 머니S
- '일당 1170만원' 포스코 최정우, 소유분산기업 CEO '연봉킹' - 머니S
- "테슬라 오르고 제네시스 그대로"… 전기차 보험등급, 이변 없었다 - 머니S
- "어머니 맞아?"… 제시, 母와 '비키니' 입고 찰칵 - 머니S
- '5억원' 주인공 됐다… 안성훈, '미스터트롯2' 眞 등극 - 머니S
- 최예빈, 히피펌+블록코어 룩…"청순 요정이 힙쟁이 됐네" - 머니S
- '유산 4번→ 45세 임신' 안용준♥베니, ○○○ 진단?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