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숙주 '너구리' 가능성…中 알고도 모른 척 의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처음 발생한 숙주가 너구리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나타낸 유전자 샘플에 중국 화난 수산시장에서 거래된 너구리의 유전자가 다수 섞여 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중국 화산 수산시장은 수산물 이외 박쥐·천산갑·뱀·오리·너구리·토끼 등 각종 야생동물을 식용으로 판매했고, 2019년 12월 코로나19가 WHO에 정체불명 폐렴으로 보고됐을 당시 발병지로 지목된 곳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처음 발생한 숙주가 너구리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중국은 이런 사실을 알고도 지난 3년간 은폐해온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게 됐다.
17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미국 과학 연구소 '스크립스 리서치', 호주 시드니대, 미국 애리조나대 소속 국제연구진은 지난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우한의 화난 수산시장에서 채취된 유전자 데이터에 대한 재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나타낸 유전자 샘플에 중국 화난 수산시장에서 거래된 너구리의 유전자가 다수 섞여 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중국 화산 수산시장은 수산물 이외 박쥐·천산갑·뱀·오리·너구리·토끼 등 각종 야생동물을 식용으로 판매했고, 2019년 12월 코로나19가 WHO에 정체불명 폐렴으로 보고됐을 당시 발병지로 지목된 곳이다.
문제는 연구진이 확보한 유전자 샘플은 이미 3년 전에 중국 과학계에서 먼저 확보해 분석했었다. 그러나 중국은 지난 1월에야 국제 인플루엔자 정보공유기구(GISAID)에 관련 데이터를 공개했고 최근에는 이마저도 삭제했다.
그런데 관련 데이터가 완전히 삭제되기 전 프랑스의 한 생물학자가 이 데이터를 우연히 발견했고, 이를 국제 과학자 그룹에 공유해 재분석이 이뤄졌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데이터는 3년 전 공유될 수 있었고, 공유됐어야만 했다"며 "우리는 중국이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필요한 조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공유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한다"고 말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벌떼입찰은 맞지만"⋯호반건설, 과징금 일부 취소 판결
- 철강협회-건설기술교육원, 품질관리 교육 MOU 체결
- LG 구광모, 선대회장 소환..."선택과 집중" 강조
- 인천서도 싱크홀?⋯관계 당국 "상수도관 누수 원인인 듯"
- KT가 정의한 '한국적 소버린 클라우드'의 네 가지 원칙 [IT돋보기]
- [자사주 보고서]④대신증권·코리안리, 유일 경영권 방어수단
- '김하늘 양 살해' 40대 여교사 명재완 구속기소…檢 "이상 동기 범죄"
- 與 개헌특위 "헌법재판관 정치편향 심각…중도 인사 임명 필요"
- 대우건설, 산불 피해복구 성금 3억원 기부
- "24시간 비상 근무"⋯방통위, 방송재난 위기경보 '경계'로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