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도 연락도 거부…'외로운 죽음' 매년 3000명 넘는다

조소희 기자 2023. 3. 17. 20: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집에서 홀로 죽음을 맞은 60대 남성의 사연, 어제(16일)도 보도해드렸습니다. 이렇게 고독사하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한해 동안 3천 명이 넘습니다.

모든 걸 거부한 채 혼자였던 이들의 흔적을, 조소희 기자가 따라가봤습니다.

[기자]

60대 이 모 씨가 혼자 살던 다세대 주택입니다.

[보통 7만~8만원 나오는데, 2천 얼마 나왔거든요?]

한겨울, 난방도 제대로 안 한 반지하에서 없는 듯 지냈습니다.

[주민센터 관계자 : (2월 20일 방문해서) 대면을 했어요. 도움을 주고자 '지저분하고 그런 걸 청소를 해주겠다' (해도) 거부하고 그런 분이었어요.]

[도시가스 검침원 : 2월 22일에 (방문했는데도) 아무 기척이 없으셨어요.]

정부가 지원하는 쌀이 며칠째 문 앞에 있다는 신고에 경찰이 창문을 뜯고 들어간 2월 27일, 이 씨는 이미 숨져 있었습니다.

바로 닷새 전, 같은 동네 60대 박모 씨도 외로운 죽음을 맞았습니다.

[인근 주민 : 엉기적엉기적 그러더라고. 정확한 나이는 몰라. 대화를 안 해봐서. 아들도 마누라도 없다고 저 밑에 통장이…]

뇌병변 장애 등을 앓으면서도 요양병원에 입원하자는 주민센터의 권유는 거부했습니다.

외롭게 살다가 홀로 숨져 뒤늦게 발견된 사람은 매년 늘어 2021년 3300명이 넘었습니다.

전체 사망자 중 1%나 되는 겁니다.

같은해 서울시 각 구청이 작성한 고독사 동향보고 76건을 살펴봤습니다.

상당수가 안부를 묻는 것도, 복지 서비스도 거부하는 고립 상태였습니다.

마음의 문을 스스로 열게 할 방법을 찾지 않으면 고독사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VJ : 박태용 / 영상디자인 : 홍빛누리)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