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은행부문 ‘금융 취약성’ 극적 고조”…SVB 사태 이후 진단
2023년 ‘허약한 경제회복’의 해
“금융부문이 취약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금융취약성이 확대되면 경제가 크게 위축될 수도 있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 이후 세계 경제에 대한 국제기구의 첫 진단이 나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7일 주요 회원국에 대한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오이시디는 최근 글로벌 금융 상황과 관련해 실리콘밸리은행 사태를 언급하면서 “각국에서 진행돼온 가파른 통화긴축 정책의 누적적 영향이 미국 일부 지역은행을 비롯한 은행부문 쪽에서 극적으로 고조되며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주요국에서 은행부문을 중심으로 통화긴축 지속에 따른 취약성이 점점 드러나고 있다”며 “높은 시중금리가 각 경제부문에 근원적으로 금융 취약성을 노출시킨다면 경제가 크게 위축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난해 초부터 각국 경제마다 실질 장기금리가 급속히 오르면서 신용공급이 위축되고, 이에 따라 주식·채권 등 모든 자산가격이 조정되고 있다. 특히 금융기관이 보유한 채권 포트폴리오에서 막대한 규모의 미실현 평가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중”이라고 오이시디는 평가했다. 실리콘밸리은행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코로나 3년간 높아진 부채 수준과 지속적 팽창해온 자산가격 거품이 조정국면을 맞으면서 금융 취약성을 낳을 공산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오이디시는 ‘은행 위기’ 같은 직접적인 표현은 보고서에 담지 않았으나 “은행부문은 물론 비은행 금융회사들에서도 잠재적 손실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이시디는 특히 “각국에서 통화긴축 정책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또 언제까지 지속될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 근원적인 위험”이라며, “물가 상승에 따른 비용인상 압박으로 최근 중장기 물가수준이 상향되는 경로가 다시 관찰되고 있다. 이것이 통화긴축을 더 오래 지속시킨다면 금융시장에서 대규모의 변동성을 촉발하는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로존을 비롯해 다수의 회원국 경제에서 대출 신용공급이 둔화되고 있으며, 각국 경제에서 명목 주택가격은 물론 높은 소비자물가를 고려한 실질 주택가격도 급속히 하락하고 있는 점도 금융부문에 리스크 요인이라고 오이시디는 평가했다. 오이시디는 이어 “비록 각국 인플레이션이 완만하게 진정되고 있지만 지난해 각국마다 빠르고 동시적으로 진행된 통화긴축의 경기 위축 영향이 올해 각국 경제에 전면적으로 파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허약한 회복’이라는 제목을 붙인 이번 보고서에서 오이디시는 올해 한국경제의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직전 1.8%(지난해 11월 전망)에서 1.6%로 내렸다. 세계(2.6%, 지난해 11월 전망치 대비 +0.4%포인트)·미국(1.5%, +1.0%포인트)·중국(5.3%, +0.75포인트)·유로존(0.8%, +0.3%포인트)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보다 일제히 0.3~1.0%포인트 올린 반면 한국은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지난 1월말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와 주요국 성장률 전망치를 대체로 상향조정한 반면 한국은 1.7%(직전 2.0%)로 내렸던 추세와 같다. 다만 일본경제의 올해 성장률(1.4%)은 지난해 11월 전망 대비 0.4%포인트 낮췄다. 한국 경제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보다 0.4%포인트 올린 2.3%로 제시했다.
다만 이번 오이디시 수정 경제전망에는 작성 시점상 최근의 글로벌 금융부문 불안 양상이 비중 있게 아직 고려되지는 않았다. 오이디시는 “최근 들어 각국 경제에서 기업·소비자의 경제활동 심리가 개선되기 시작하고 식료품·에너지 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있으며, 중국경제의 전면적인 재개도 반영됐다”며 “글로벌 경제가 지난해 하반기에 허약성을 드러냈으나, 올들어 2월까지는 주요 20개국에서 고용이 여전히 견고하고 가계 구매력이 살아나 민간소비가 경제를 지탱해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한국경제 성장률 수정전망치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붙이지 않았으나 “글로벌 경제의 회복 정도가 여전히 취약하고, 한국경제는 주로 반도체를 비롯한 정보기술부문 둔화세가 전체 수출과 생산을 수축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이디시는 회원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기조적 물가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지표가 명백하게 나타날 때까지는 경기를 제약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또 물가수준이 올해와 내년에 걸쳐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대다수 국가에서 내년 하반기까지는 각국 중앙은행의 물가억제목표치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역대급 ‘일방 외교’…윤 대통령, 일본 청구서만 잔뜩 받아 왔다
- 국정원, 박지원 수사 의뢰…“신영복 글씨체 원훈석 직권남용”
- 대관람차 ‘서울링’ 표절 시비…23년 전 디자인·이름 판박이
- “논두렁 시계 보도 배후, 나 아닌 국정원” 이인규에 검찰 “무혐의”
- 노동시간 ‘노사 자율 결정’ 강조하는 정부…지금 한국에서요?
- 압사로 자식 잃은 일본인들, 이태원서 슬픔을 함께 하다
- “지난주 국힘 간부 비밀리에 방일…기시다에 ‘사과’ 언급 부탁”
- 4년 만에 ‘마스크 벗고’ 여의도 벚꽃 축제…500만 다녀갈 듯
- ‘3개월 계약’, ‘갑질’에 짓눌린 울분…경비원의 삶을 말하다 [포토]
- SC제일·한국씨티은행, 해외 본사에 2300억 ‘배당 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