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野, 日언론 근거로 가짜뉴스를"…尹 의전 언쟁도 계속(종합)

이균진 기자 정지형 기자 2023. 3. 17. 19: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권은 17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와 독도에 대한 일본 측 의견이 있었다는 더불어민주당 측의 주장에 대해 "일본 언론 보도를 근거로 가짜뉴스를 배포한다"며 "국익과 미래는 안중에도 없는가"라고 비판했다.

윤희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사실관계를 바로잡는 대통령실의 팩트는 거짓이고 일본 언론의 보도는 사실로 치부하며 근거 없는 공세를 펴는 민주당의 인식이 참담할 뿐"이라며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는 민주당은 외교 참사라도 있기를 바라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尹 국기 목례 日 관행 따른 것
탁현민 "의장대 사열에 태극기 없을 때 예 표하는 것"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2023.3.16 ⓒ AFP=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서울=뉴스1) 이균진 정지형 기자 = 여권은 17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와 독도에 대한 일본 측 의견이 있었다는 더불어민주당 측의 주장에 대해 "일본 언론 보도를 근거로 가짜뉴스를 배포한다"며 "국익과 미래는 안중에도 없는가"라고 비판했다.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든, 독도 문제든 논의된 바가 없다"며 "민주당은 무슨 근거로 확신하는가"라고 비판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일본 언론에 보도됐다고 모든 것이 사실은 아니다"라며 "문재인 정권 때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오보임을 강조하더니 야당이 되니 팩트가 됐나. 그때는 맞고 지금은 다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순방길에 오를 때마다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왜곡 본능이 어김없이 재발한 것"이라며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이며 위안부 문제 역시 우리가 치유해야 할 과거사다. 외교에 기초도 모르고 오직 정치적 분란만 일으키려는 민주당의 정략적 상상에 불과하다"라고 비판했다.

윤희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사실관계를 바로잡는 대통령실의 팩트는 거짓이고 일본 언론의 보도는 사실로 치부하며 근거 없는 공세를 펴는 민주당의 인식이 참담할 뿐"이라며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는 민주당은 외교 참사라도 있기를 바라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김미애 원내대변인은 "일본이라면 무엇이든 신뢰하지 않으면서 대통령을 흠집 내고 한일관계를 갈등으로 몰아갈 수 있는 일본 언론 보도라면 '묻지 마' 신뢰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며 "문재인 정권의 어린아이 불장난식 위안부 문제 합의 파기와 번복에 대해 국민께 먼저 사과하는 것이 순서"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전날 윤 대통령의 국기에 대한 경례를 지적한 것을 두고도 논쟁이 이어졌다.

탁 전 비서관은 윤 대통령이 일본 총리 공관에서 진행된 자위대 의장대 사열 당시 "태극기에 경례한 뒤 다시 고개를 숙여 일장기에 경례를 했다"며 의전 실수를 지적했다.

이에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반일편집증에 시달리는 또 다른 패착"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안병길 의원도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도 상대국 국기에 고개를 숙인 적이 있다며 탁 전 비서관을 공격했다.

대통령실은 해당 논란과 관련해 일본 관행은 의장대 사열 도중 각기 상대방 국기에 예를 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 다른 국가 정상들도 방일 당시 기시다 총리와 함께 자국 국기와 일장기 앞에서 동시에 목례를 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은 방문국인 일본의 의전 프로토콜을 따른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와 함께 국기에 대한 예를 표했고, 이에 앞서 태극기 앞에서 가슴에 손을 얹어 정중한 예를 표한 것이라고 밝혔다.

탁 전 비서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또 다른 글을 올리고 여당 의원 비판에 반박했다.

그는 "대통령의 해외 의장사열 행사 때 상대국 국기에 예를 표하는 때는 딱 한 가지 경우였다"며 "의장대 사열 대오 안에 태극기가 없었을 때"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임 정부와 전임 의전비서관의 실수를 만들어내기보다 전 정부의 원칙을 살펴보고 발전시키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