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망스러운 중국판 챗GPT ‘어니봇’...라이브 시연 실종에 바이두 주가 급락

이윤정 기자 2023. 3. 17. 15: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최대 검색기업 바이두가 미국 챗GPT 대항마로 내놓은 '어니봇'이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면서 주가를 끌어내렸다.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어니봇을 공개한 직후 홍콩 바이두 주가는 10% 급락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검색기업 바이두가 미국 챗GPT 대항마로 내놓은 ‘어니봇’이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면서 주가를 끌어내렸다.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어니봇을 공개한 직후 홍콩 바이두 주가는 10% 급락했다. 결국 이날 바이두 주가는 6.5%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자사 챗봇 '어니봇'을 공개하고 있다./AFP연합뉴스

SCMP는 “지난달 바이두가 챗GPT 대항마를 연구하고 있다는 소식에 주가가 15% 상승한 것과는 정반대”라고 지적했다. 바이두가 중국의 인공지능(AI) 선두 기업인 만큼, 당시 시장은 중국의 잠재적 거대언어모델을 선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됐다.

그러나 전날 바이두의 어니봇 시연은 기술적 한계를 오히려 부각시켰다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리옌훙은 약 30분간 무대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는데, 어니봇을 실시간 시연하는 대신 파워포인트 슬라이드와 사전 녹화된 시연 자료만 공개했다.

베이징 컨설팅회사 어낼리시스의 리즈 이사는 “바이두는 챗GPT와 GPT-4 이후 거대언어모델을 공개한 첫 중국 기술 기업이지만, 실시간 시연만큼 놀랍지 않은 녹화된 시연만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리 이사는 어니봇이 챗GPT와 달리 영어에 약하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했다. 그는 “어니봇은 중국어 처리는 잘하지만, 영어 처리는 그만큼 잘하지 못한다”며 “다른 언어 모델처럼 어니봇도 방대한 양의 서면 자료에 대해 훈련 받았는데 ‘만리방화벽’이라 불리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 환경에 둘러싸여 기능이 제한된다”고 했다.

중국 선전 첸하이 유나이티드 포춘 펀드 매니지먼트의 유잉보 최고투자책임자(CIO)도 “일반 파워포인트 발표와 무엇이 다른가”라며 “리옌훙은 챗봇이 정보를 얻는 데이터베이스나 언어 모델뿐만 아니라 챗GPT와 차별점은 무엇인지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발표는 매우 모호했고 이론상에 그쳤다”고 평가했다.

바이두가 챗봇을 사전 녹화 영상으로 공개한 첫 기업은 아니다. 구글은 지난달 대화형 챗봇 ‘바드’를 공개할 때 사전 녹화 영상을 사용했고, 마이크로소프트의 ‘빙’도 같은 방식으로 공개됐다. 특히 구글이 공개한 시연 영상에서 바드는 오답을 내놨고, 이에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당일 7% 이상 폭락하기도 했다. 빙 역시 시연 도중 오작동한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

리옌훙은 “어니봇에 대한 개인적 경험에 비춰 볼 때 나는 이것이 완벽하다고 말할 수 없다”며 “그럼에도 지금 이를 출시하는 것은 시장의 요구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어니봇은 중국과 미국의 경쟁 도구가 아니며 기술을 활용해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꿈을 꾸는 바이두 엔지니어들이 만들어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강조했다.

바이두는 어니봇이 영어 등 다른 언어에 약하다는 지적에 대해 “어니봇은 중국어에서 가장 진보된 자연어 처리 기능을 갖고 있다”며 “이 같은 발전은 중국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해외 모델보다 중국어와 중국 시장에 더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