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지역 돌봄시설·수영장…매년 40곳씩 5년간 확대

김정현 기자 2023. 3. 17. 1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교육부, 17일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 발표'
2027년까지 200개 지정…"학생·주민 동선 분리"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3.03.17. kmx1105@newsis.com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교육부가 지역 주민도 이용할 수 있는 학교 내 문화·체육 등 복합화 시설을 대폭 확대한다. 매년 대학과 초·중·고 40개교를 선정해 2027년까지 200개교에 시설을 만든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은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앞서 이날 오후 이 부총리 주재로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교육부가 제출한 이번 방안을 심의했다. 학교에는 복합시설을 설치해 방과 후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지역에는 생활SOC(사회간접자본)를 확충해 인구 유출을 막고자 추진됐다.

학교복합시설은 2001년 서울 성동구 금호초등학교를 시작으로 현재 226개교에 설치돼 있다. 2019년에는 국무조정실 생활SOC추진단 주도로 지난해까지 3년 동안 복합화 시설 확충을 추진했다.

그간 학교복합시설은 체육시설(129개소·전체 33.1%)이나 주차장(124개소·31.6%)으로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정부가 초등 늘봄학교 사업을 추진했으나, 양질의 돌봄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화 시설은 시범학교 214곳 중 3개에 불과한 상태다.

전체 226개소 중 200개소(89%)가 수도권이나 광역시에 소재해 편중됐고, 소유권, 운영권, 관리비 등 복잡한 문제가 얽히며 일선 학교와 관계 당국이 사업 추진에 소극적이라는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교육부는 오는 2027년까지 전국 모든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1개소 이상의 학교 복합시설을 운영하도록 설치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복합시설이 아예 없는 149개 지자체를 시작으로 5년간 매년 대학 10개교, 초중고 30개교씩 공모를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올해 늘봄학교 시범운영 214개교와의 연계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 등 늘봄학교 수요와 지역 수요가 부합하는 학교, 돌봄 및 교육활동 관련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사업 등과도 연계해 선정한다.

복합시설 내 돌봄시설에는 초등 저학년을 위한 바닥난방, 세면대, 안전장치 등 아동 친화적 시설을 조성한다. 거점형 돌봄센터를 두고 인근 학교 학생들의 이용도 장려하는 한편, 늘봄학교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방과후·늘봄지원센터 공간도 마련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 코딩, 빅데이터, 드론 등 미래사회 대비 수요가 높은 신산업 분야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한다.


중·고교, 대학에도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복합시설 특화 방안을 마련한다. ▲신도시형 ▲구도심형 ▲농산어촌형 등 유형별로 목적을 달리한다.

특히 대학의 경우, 선정 시 5년 간 국고 1000억원을 투입하는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지방대에게 학교 복합시설 우선 조성 방안도 추진한다. 해당 대학을 지역 발전의 중심으로 키운다는 취지에서다.

행·재정적 지원을 통한 학교·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도 유도한다. 먼저 지자체의 사업 참여를 이끌기 위해 설치비 20~30%를 시도교육청 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으로 지원한다. 지자체 재정 자립도가 낮을수록 지원 비율을 확대한다.

교육부는 학교 복합화 시설 관리, 운영비 일부를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위한 관련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복합시설의 관리·운영권은 학교가 아닌 지자체장이 갖는다. 학교 안에 한 지붕 두 주인이 생기는 셈이다. 이를 통해 교육활동이 이뤄지는 학교와 지역 주민이 이용하는 복합시설의 관리, 운영 책임을 명확히 하고 업무 부담을 줄이고자 인력도 지원한다.

학교복합시설은 학교 안에 설치돼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만큼 학생들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모든 학교복합시설에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를 적용한다. 학생과 주민의 동선을 분리하는 등 학습환경 침해를 막는다.

교육부는 향후 공모사업 추진을 위해 내달 사업설명회를 열고 5월부터 공모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