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만 공연 보나요? 5060도 공연 봅니다[알쓸공소]

장병호 2023. 3. 17. 14: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0~60대 여성 이야기 그린 뮤지컬 '다시, 봄'
'디바이징 씨어터' 방식으로 진솔함 담아
배우들의 실제 이야기로 가슴 뭉클한 감동
중장년 관객 인기작 '맘마미아!'도 26일 개막

‘알쓸공소’는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연 소식’의 줄임말입니다. 공연과 관련해 여러분들이 그동안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혹은 재밌는 소식과 정보를 전달합니다. <편집자 주>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내 나이 벌써 반백살이래. 언제 이렇게 됐는지…. 최선을 다해 살았지. 남편 아이들 챙기며~.” (서울시뮤지컬단 창작뮤지컬 ‘다시, 봄’ 넘버 ‘인생길 버스 여행’ 중)

중년 여성들의 이야기를 뮤지컬로 만들면 재미있을까요? 뭐 특별한 이야기가 있을까 싶습니다만, 실제로 보니 그렇지도 않더라고요.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개막한 서울시뮤지컬단 창작뮤지컬 ‘다시, 봄’을 보면서 든 생각입니다.

서울시뮤지컬단 창작뮤지컬 ‘다시, 봄’의 한 장면. (사진=세종문화회관)
‘다시, 봄’은 서울시뮤지컬단이 지난해 10월 초연한 작품입니다. 서울시뮤지컬단의 50~60대 여성 단원 7명의 실제 이야기를 극으로 재구성했어요. 지난해 공연 개막을 앞두고 연습실을 공개했는데 그때가 특별하게 기억납니다.

솔직히 말하면 대단한 스타 배우가 나오는 작품이 아니어서 큰 기대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연습 장면 시연을 마친 뒤 간담회에 참석한 배우들이 울컥하는 모습을 보니 저도 모르게 짠하더군요. 그럴 수밖에 없었죠. 나이 때문에 무대 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보단 다른 배우들과 함께 작품을 묵묵히 받쳐주던 50~60대 배우들이 주인공이 돼 자신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으니까요.

‘다시, 봄’은 독특한 창작 방식을 취한 작품입니다. 공연 참여자들이 극 구성에 적극 개입하는 공동 창작 방식인 ‘디바이징 씨어터’(devising theatre)로 제작됐죠. 실제로 이 작품은 7명의 배우들을 비롯한 중년 여성들과의 심층 인터뷰, 워크숍을 통해 극을 구성했습니다. 작품 속 캐릭터도 배우들의 실제 모습과 닮은 점이 많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지난해 초연은 보지 못했습니다. 다만 초연을 본 공연 관계자들로부터 진정성의 힘이 있는 작품이라는 반응을 전해 들었습니다. 호평에 힘입어 약 5개월 만인 지난 15일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다시 공연을 올렸습니다. 개막 직전 언론 시연회를 통해 공연을 미리 봤는데, 소문대로 진솔한 매력이 가득했습니다. 저는 여성은 아니지만, 등장인물들과 비슷한 고민을 안고 살아가셨을 어머니 생각이 많이 났습니다. 갱년기, 폐경, 은퇴 이후의 삶, 애써 외면해왔던 꿈 등 생활 밀착형 에피소드를 뮤지컬로 접하는 재미도 쏠쏠했습니다.

서울시뮤지컬단 창작뮤지컬 ‘다시, 봄’의 한 장면. (사진=세종문화회관)
이번엔 출연 배우 숫자가 2배로 더 늘어났습니다. 지난해 초연에 출연한 배우들이 ‘다시’ 팀, 그리고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등을 통해 ‘국민 센 엄마’로 잘 알려진 배우 문희경, 연극과 뮤지컬을 비롯해 다수의 드라마에서 주부들의 사랑을 받아온 배우 구혜령 등이 ‘봄’ 팀으로 새롭게 합류해 함께 무대를 꾸밉니다. 평균 나이 54세, 연기경력 도합 425년에 달하는 여배우들의 에너지로 가득한 무대입니다. 늦은 저녁 공연을 보기 힘든 중장년 관객을 위해 매주 목요일엔 오전 11시에도 공연을 합니다. 게다가 티켓 가격도 3만~5만 원으로 저렴하고요.

서울시뮤지컬단이 50~60대 여성의 이야기로 ‘다시, 봄’을 만든 이유는 공연시장 관객층의 확대를 위해서입니다. 김덕희 서울시뮤지컬단 단장은 “‘다시, 봄’을 만든 이유는 ‘디바이징 씨어터’ 방식으로 배우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극으로 만드는 것과 함께 50대 이상이 즐길 수 있는 문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였다”고 말했습니다.

공연은 언제 어디서든 관람할 수 있는 영화와 달리 한 번의 공연을 볼 수 있는 관객 수도, 공연 시간도 제한돼 있습니다. 지금 한국 공연시장이 20~30대 여성 관객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는 이유입니다. 인터파크가 지난달 10일 발표한 지난해 공연 결산 자료를 보면 연령별 공연 티켓 구매자 비중에서 30대가 32.6%, 20대가 31.7%, 40대가 21.9%를 차지했습니다. 50대는 7.5%, 60대 이상은 2.3%에 불과했죠.

그런 점에서 ‘다시, 봄’의 등장은 공연계 입장에선 반가울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 봄’은 16일 기준 인터파크 예매자 통계에서 50대 이상의 예매율이 41.5%로 월등히 높습니다. 물론 이 작품 하나만으로 공연시장의 관객층이 하루아침에 넓어질 수는 없겠죠. 그럼에도 50대 이상이 즐길 수 있는 공연 콘텐츠가 나온다면 새로운 관객 층을 유입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뮤지컬 ‘맘마미아!’의 2019년 공연 장면. (사진=신시컴퍼니)
마침 중장년 관객이 사랑하는 또 한 편의 공연이 무대에 오릅니다. 오는 24일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개막하는 뮤지컬 ‘맘마미아!’입니다. 세계적인 팝 그룹 아바의 히트곡으로 만든 주크박스 뮤지컬의 대명사와도 같은 작품입니다. 2004년 국내 초연을 통해 중장년 관객도 공연시장의 주 소비층이 될 수 있음을 일찌감치 증명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저는 2019년 처음으로 ‘맘마미아!’를 봤습니다. 작품도 작품이지만 다른 뮤지컬에선 볼 수 없는 관객들의 반응이 기억에 오래 남아 있습니다. 아바의 ‘댄싱퀸’이 흘러나오자 어깨를 들썩이던 중장년 관객들의 모습이요. 누군가는 이런 모습을 ‘관크’(관람 행위를 방해하는 신조어 ‘관객 크리티컬’의 줄임말)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저는 오히려 배우들과 함께 신이 나 공연에 빠져든 관객들의 모습이 더 좋았습니다. ‘맘마미아!’는 이제 중장년을 넘어 전 세대가 사랑하는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시, 봄’은 다음달 1일까지, ‘맘마미아!’는 오는 6월 25일까지 공연합니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