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350만 찾는 런던아이…오세훈표 서울링도 성공할까

고현실 2023. 3. 17. 1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암동에 2027년 고리형 180m 대관람차…안전·사업성 '관건'
런던아이 탄 오세훈 "내가 고리형 디자인 아이디어 내"
상암동 하늘공원에 180m 대관람차 '서울링'…2027년 말 완공 (서울=연합뉴스) 서울시가 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대규모 쓰레기 매립지에서 생태 공원으로 탈바꿈한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2027년 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 조성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 디자인 조감도. 2023.3.8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런던=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14일(현지시간) 오후 런던 중심 템스강변의 런던아이(London Eye) 주변은 평일임에도 탑승객으로 북적거렸다.

과연 '런던의 명물'다웠다.

요 며칠 흐렸던 하늘은 모처럼 화창했다. 바람도 전날보다 한결 잦아들었다.

유럽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상암동에 들어설 대관람차 '서울링' 구상을 구체화하고자 한국에서 동행한 취재진과 함께 런던아이를 직접 탔다.

전날에는 강풍으로 애초 계획했던 런던 케이블카 체험을 하지 못했지만 이날은 예정대로 오후 2시께 런던아이에 탑승할 수 있었다.

2000년 운행을 시작한 런던아이는 최고 높이가 135m에 달하는 대관람차다.

한 번에 25명까지 탈 수 있는 캡슐 형태의 캐빈(cabin·객차) 32개가 바퀴 모양의 구조물(rim)에 달려 돌아간다. 한 바퀴를 도는 데 30분. 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반경 40㎞까지 경관을 볼 수 있다.

런던아이는 똑바로 서 있기 힘들 정도의 강풍이 불던 전날에도 정상 운영했다.

바람이 비켜나가는 지점에 설치된 데다 캐빈이 바람의 영향을 줄여주는 타원형 디자인을 적용한 덕분이었다.

런던아이 [서울시 공동취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런던아이는 바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내륙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 축과 이어진 지지대와 케이블이 구조물이 넘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캐빈 안에선 움직임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안정감을 유지했다. 캐빈 양 끝에 달린 모터가 캐빈이 움직이는 각도를 조정해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캐빈마다 냉난방시설, 조명, 스피커 등을 갖춰 쾌적한 관람을 돕는다.

런던아이는 구조물 하단에 연결된 두 개의 바퀴가 구조물과 맞물려 돌아가는 원리로 움직인다. 마치 톱니바퀴처럼 하단의 바퀴가 돌아가면서 구조물을 위로 올리면 내려올 때는 중력을 활용해 하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원리는 런던아이와 달리 가운데 축과 살(spoke)이 없는 서울링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캐빈을 케이블로 연결한 뒤 케이블 자체를 돌리면 런던아이와 비슷한 구조가 된다"며 "캐빈이 직접 구조물을 타고 움직이는 방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탑승객 태운 런던아이 (런던=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대관람차 런던아이가 탑승객들을 태우고 이동하고 있다. 2023.3.17 okko@yna.co.kr

그러나 런던아이처럼 캐빈을 잡아주는 바큇살이 없다 보니 안정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게다가 서울링 높이는 런던아이보다 약 45m 높은 180m로 설계된다. 아랍에미리트의 아인 두바이(폭 257m)에 이어 세계 2위, 가운데가 빈 고리형 대관람차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크기다.

현존하는 고리형 대관람차는 2018년 운행을 시작한 높이 145m의 중국 산둥(山東) 지역 '보하이의 눈'이 유일하다.

런던아이 설계업체 측은 서울링의 안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오 시장과 동승한 런던아이 설계업체 스타네스의 존 헨리 디자이너는 "런던아이의 서스펜션(무게를 받쳐주는 케이블) 구조보다 살 없는 구조가 더 안전하고 시공도 더 간단하다"고 말했다.

서울링은 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 없이 관람차를 돌리기만 하면 되기에 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는 설명이다.

관리 측면에서도 로봇을 이용해 자주 청소한다면 황사나 먼지로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상암동 하늘공원에 180m 대관람차 '서울링'…2027년 말 완공 (서울=연합뉴스) 서울시가 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대규모 쓰레기 매립지에서 생태 공원으로 탈바꿈한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2027년 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 조성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 외부 투시도. 2023.3.17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런던아이 설계자이자 서울링 자문에 응한 힐 스미스 스타네스 대표도 "런던아이를 설치했을 때보다 자재도 가벼워지고 기술도 더 좋아져 바큇살 없는 방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탑승이 끝난 뒤 취재진에 "역학적, 기술적으로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을지 상당히 걱정을 많이 했는데 설명을 듣고 좀 더 확신을 갖게 됐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또 고리 형태로 만드는 아이디어를 직접 냈다며 "(세계 최대 고리형 대관람차를) 처음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 그래야 와볼 가치가 생긴다"고 말했다.

안전에 대해서는 "상암동 매립토 깊이가 100m가 채 안 되는데 그 밑에 있는 지반까지 이어지는 120m 길이의 지지 파일을 20개 이상 박아 기초를 튼튼히 하고 난 후에 구조물이 올라가기에 안정성은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런던아이 탑승한 오세훈 서울시장 (런던=연합뉴스) 오세훈 시장이 14일(현지시간) 매년 35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대관람차 '런던아이'에 탑승해 도시경관을 둘러보고 있다. 2023.3.17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시는 민간투자를 받아 상암동 하늘공원에 서울링을 만들 예정이다. 2025년 6월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이 목표다.

사업비는 약 4천억원이지만 설계와 공사 기간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시는 투명한 튜브 안에서 캐빈이 돌아가는 방식을 일단 제시했지만, 실제 디자인은 민간 제안을 검토한 뒤에야 확정된다.

민간기업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관람료를 높게 책정할 가능성도 있다.

런던아이 이용료는 약 40파운드(6만3천원)다. 사업비는 1천584억원이 투입됐지만 연간 350만명이 찾아오면서 운영 업체는 3년 만에 투자비를 회수했다.

런던아이가 인기를 끌면서 인근 건물 가격이 4∼5배 오르고 런던 관광 활성화로 이어졌다는 게 런던아이 운영사 측의 설명이다.

런던아이 탑승한 오세훈 서울시장 (런던=연합뉴스) 오세훈 시장이 14일(현지시간) 매년 35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대표적 도심명소인 대관람차 '런던아이'에 탑승해 런던아이 설계·운영업체 관계자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2023.3.17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런던아이의 성공을 계기로 2008년 싱가포르, 2014년 미국 라스베이거스, 2021년 두바이 등에 속속 대관람차가 들어섰다.

그러나 2012년부터 뉴욕 스태튼섬에 건립이 추진된 대관람차 '뉴욕 휠'은 자금 확보와 경제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서울시는 입지적인 면과 디자인 경쟁력 등에서 서울링의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봤다. 또 다른 문제인 접근성은 월드컵경기장과 연결되는 곤돌라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 시장은 "드론을 띄워 후보지들의 뷰(view)를 다 보고 판단했다"며 "관광 측면에서 하늘공원이 다른 입지보다 불리하지 않다. 근처에 여러 즐길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준비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시는 업체가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해야 할 도의적 책임이 있다"며 "민간기업과 계약할 때 수익이 너무 많아 특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정을 넣겠다"고 말했다.

okk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