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nwhile] Gutsy diplomacy of Down Under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영국·호주 정상들 등 뒤로 펼쳐진 캘리포니아 바다에 버지니아급 핵추진 잠수함이 떠 있다.
3국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호주에 공급하게 될 미주리함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함께 카메라 앞에 선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얼굴이 밝았다.
엊그제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커스 정상회의 결과 미국은 1950년대 영국 이후 처음으로 호주에 첨단 핵기술을 공유해주게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ANG HYE-RANThe author is the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A Virginia-class nuclear-powered submarine was floating off the coast of California behind the leader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is is the USS Missouri, a submarine the three-nation security group Aukus will supply to Australia.
Australian Prime Minister Anthony Albanese’s face was bright in front of the camera, posing with U.S. President Joe Biden and British Prime Minister Rishi Sunak. As a result of the Aukus summit held in San Diego on March 13, the United States will share advanced nuclear technology with Australia for the first time since it did so with the UK in the 1950s.
Needless to say, the bold U.S. decision is to check China’s expansion in the Indo-Pacific region. The Australian prime minister responded that his government was determined to invest in defense.
Australia seems to be determined to engage in a one-off battle with China, but actually, China is its biggest trade partner. Last year, a third of Australia’s trade was with China, even after the two countries had intense discords over Huawei and Covid-19 and after Australia got the “economic retaliation” from China in 2019.
After China banned coal imports from Australia, it suffered from extreme power shortages. As soon as Albanese’s Labor government was established last year, China first sent a gesture of reconciliation. There are signs that the trade frictions would be “dismissed,” allowing imports of coal and cotton from Australia soon.
I wondered, “What nerve did Australia have to confront China?” — a question I most frequently asked when I recently visited Australia to cover the India-Pacific Security Strategy hosted by the Korean Women’s Journalists Association.
In meetings with not only the Australian government officials but also think tank researchers and journalists, the conversation went around and settled down to “China.” It was especially impressive that the Labor Party — which habitually mocked the preceding Scott Morrison administration’s hardline diplomacy for being “megaphone diplomacy” — succeeded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major policy toward China after taking power.
At the time of signing the Aukus agreement, the Labor Party denounced it for procedural issues. But now, it is busy promoting it as the current administration’s accomplishment, advocating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ubmarine strengthens the security alliance and creates tens of thousands of jobs.
Apart from criticism of the former government, Australia’s stance toward China has been consistent in principle, said Deputy Foreign Minister Tim Watts when I met him on March 6. The principle is, in short, “national interests.” He stressed that on matters related to China, past Australian administrations have supported bipartisan policies and said that the country will speak up on issues related to its fundamental interests while cooperating with China on possible areas.
It won’t be an easy stance unless you have a vast territory and abundant natural resources, as well as the “backing” of a close value alliance with America and Britain. But Canberra’s principle of “responding to diplomatic discords at a long-term and national level, not for short-term and political interest,” looked quite refreshing to me.
미국과 중국 사이, 호주의 '뚝심 외교’강혜란 국제부장
미국·영국·호주 정상들 등 뒤로 펼쳐진 캘리포니아 바다에 버지니아급 핵추진 잠수함이 떠 있다. 3국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호주에 공급하게 될 미주리함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함께 카메라 앞에 선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얼굴이 밝았다. 엊그제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커스 정상회의 결과 미국은 1950년대 영국 이후 처음으로 호주에 첨단 핵기술을 공유해주게 됐다. 미국의 통 큰 결심은 두말할 나위 없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앨버니지 총리도 “호주 정부는 국방에 투자할 결의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이렇게 보면 호주가 중국과 ‘한판 대전’을 벼르는 것 같지만 오히려 중국은 호주에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호주 무역의 3분의 1이 중국과 이뤄졌다. 화웨이·코로나19 등으로 틀어져 2019년 이래 중국으로부터 소위 ‘경제 보복’을 당했어도 이렇다. 오히려 호주산 석탄을 수입 금지했던 중국이 극심한 전력난을 겪었다. 중국은 지난해 앨버니지 노동당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화해 손짓을 먼저 했고, 최근 호주산 석탄과 면화의 수입을 허용하는 등 통상 마찰을 ‘없던 일’로 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호주는 무슨 배짱으로 중국에 맞짱 뜰 수 있던 겁니까.” 최근 한국여성기자협회 주관으로 ‘인도태평양 안보전략 현장’ 취재차 호주를 방문한 동안 입에 달고 다닌 질문이다. 정부 관료뿐 아니라 싱크탱크 연구원, 언론인들과 만남에서 대화는 돌고 돌아 결국 ‘중국’에 이르렀다. 특히 스콧 모리슨 전임 정부의 강대강 외교를 ‘확성기 외교’(megaphone diplomacy)라고 비토하던 노동당이 집권 후엔 전임 정부의 주요 대중국 정책을 계승하는 게 인상적이었다. 노동당은 오커스 협정 체결 당시만 해도 절차상 문제 등을 들어 질타했지만 이젠 잠수함 건조가 안보 동맹을 두껍게 하고 일자리 수만 개를 창출한다며 현 정부 치적으로 홍보하기 바쁘다.
“전임 정부에 대한 비판과 별개로 중국에 대한 호주의 입장은 원칙적으로 일관됐다.” 지난 6일 만난 팀 와츠 호주 외교부 부장관의 말이다. 원칙이란 한마디로 ‘국익’이란다. “중국 관련 문제에서 역대 호주 정부는 초당적으로 정책을 지지·유지해왔다”면서 “중국과 협력이 가능한 부분은 함께 하되 근본적 이익이 걸린 문제엔 우리 목소리를 내겠다”고 했다. 넓은 국토가 품은 광대한 천연자원, 미·영과 끈끈한 가치 동맹 등 ‘뒷배’가 없고선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단기적·정치적 이익이 아닌 장기적·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원칙이 새삼스러웠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s RM praised for his defense of and honesty about K-pop industry
- Grandson of late president Chun dishes dirt on family
- National interest not a zero-sum game with Japan: Yoon
- Consumers boycott Synnara Record after links to cult revealed
- Ex-President Chun Doo Hwan's grandson calls him a 'slaughterer'
- Adoptee reunites with family 42 years after going missing at bus terminal
- [Column] Let the past pass
- Nude model Ha Young-eun bares all with her first book
- 'The Glory' becomes most popular show on Netflix globally
- Japan lifts export restrictions 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