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지적한 한국 사회 문제점 1위 '경제적 불평등'

조아라 2023. 3. 17. 08: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오픈AI의 챗봇 '챗GPT'가 지적한 한국 사회 문제점 1위는 '경제적 불평등'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가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8일까지 총 6781명을 대상으로 '챗GPT가 지적한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래픽=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


미국 오픈AI의 챗봇 '챗GPT'가 지적한 한국 사회 문제점 1위는 '경제적 불평등'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가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8일까지 총 6781명을 대상으로 ‘챗GPT가 지적한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먼저 챗GPT의 사용 현황에 대한 질문에서는 이를 들어본 응답자는 71%, 사용해본 응답자는 25%를 기록했다. 회사 측은 챗GPT에 한국 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질문한 결과 경제적 불평등(Economic Inequality), 노동 시장의 경직(Labor Market Rigidity), 고령화(An Aging Society), 북한의 위협(North Korean Threat), 환경 문제(Environmental Issues) 총 5가지의 답변을 했다고 전했다.

그래픽=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


데이타몬드는 챗GPT의 답변에 대해 각각 5점 척도로 조사했다. 동의 정도는 '동의한다'와 '매우 동의한다'를 합산했다. 동의 정도는 고령화 80%, 환경 오염 76%, 노동 시장의 경직 70%, 경제적 불평등 69%, 북한의 위협 56% 순으로 조사됐다. 동의 정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고령화(80%)였다. 가장 낮은 항목은 북한의 위협(56%)으로 두 항목 간의 차이는 24%포인트였다.

다섯 가지의 항목 중 가장 큰 문제점을 선택하는 질문에서는 경제적 불평등 37%, 고령화 31%, 노동 시장의 경직 18%, 환경 오염 8%, 북한의 위협 6% 순으로 나타났다. 동의 정도를 묻는 설문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제적 불평등의 경우 단일 설문에서는 동의한다(매우 동의한다 포함)는 69%로 동의 정도에서는 4번째 순위에 있었지만, 가장 큰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는 37%로 가장 많은 응답자의 선택을 받았다.

챗GPT가 얼마나 정확하게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매우 정확하다 8%, 정확하다 50%, 잘 모르겠다 33%, 정확하지 않다 7%, 전혀 정확하지 않다 1%로 응답했다. 과반 이상의 응답자가 챗GPT의 한국 사회 문제점 인식에 대해 정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래픽=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


'챗GPT가 한국 사회의 문제 해결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약 절반에 해당 하는 응답자가 잘 모르겠다(47%)로 답했다.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40%('기여할 수 있다' 37%, ‘매우 잘 기여할수 있다' 3%)로 기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13%(’기여할 수 없다' 11%, ‘전혀 기여할 수 없다’ 2%)로 나타났다.

챗GPT가 한국 산업의 변화에 미칠 영향도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는 57%(영향을 끼칠 것이다 52%, 매우 영향을 끼칠 것이다 5%),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는 8%(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다 7%,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다 1%), 잘 모르겠다로 답변한 사용자는 35%였다.

지난달 2일 챗GPT의 유료 구독 서비스가 도입된 이후, 유료 버전에 대한 구독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구독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8%, 구독 의향이 없는 응답자는 67%였다. 잘 모르겠다 응답은 25%였다. 

그래픽=데이터 전문 기업 데이타몬드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