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진우영 2023. 3. 17.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향신문 = 이번엔 '당헌 80조 삭제' 추진, 민주당 퇴행이 심하다

성난 여론에 갈팡질팡 주 69시간제, 졸속 행정 책임 물어야

일 '과거 반성' 호응 없는 정상회담, 윤 대통령 방일 왜 했나

▲ 국민일보 = SVB에 이은 유럽 금융불안…우리도 철저히 대비하라

'주 69시간' 보완 착수한 정부, 노동계 우려에 귀 기울여야

12년 만의 한·일 정상회담, 새 출발 선언했지만 갈 길 멀다

▲ 서울신문 = 고조되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철저히 대비를

한미, 압도적 대응태세로 북 도발 의지 꺾어야

새로운 한일 협력의 시대 시동 건 尹·기시다 회담

▲ 세계일보 = 北지령 받아 괴담 유포하고 반정부 투쟁 벌인 간첩단 실체

한·일 정상 만나는 날 ICBM 쏜 北…안보 협력 강화만 부를 뿐

尹·기시다 정상회담, 한·일 협력의 새 시대 첫걸음 뗐다

▲ 아시아투데이 = 李·한노총의 노동개혁 저지, 경제회생에 역행

300조 투자, '기업하기 좋게'해서 성공시키자

▲ 조선일보 = 미·유럽 잇단 은행 위기, 우리도 '충당금 방파제' 미리 더 쌓아야

근로 시간 개편, 일정 기간 시험 실시로 효과와 부작용 점검해보길

韓 대통령 12년 만의 방일과 日의 유보적 태도

▲ 중앙일보 = 주 52시간제 둘러싼 정책 혼선 걱정된다

미래로 함께 나아갈 출발점 된 한·일 정상회담

▲ 한겨레 = 손자 폭로로 다시 주목되는 '전두환 비자금'

'주 60시간 상한 캡'은 또 무슨 근거로 계산한 건가

사과 안한 일본에 '구상권 청구 없다' 약속한 윤 대통령

▲ 한국일보 = 번져가는 은행 불신…나비효과 대비 탄탄하게

정상회담 겨냥해 ICBM 쏜 북한, 오판하지 말라

한일 '공동번영 새출발' 선언…징용 호응 조치는 없어

▲ 디지털타임스 = 한일 '셔틀 외교' 복원…과거 그늘 벗어나 새미래 열어야

'주60시간 캡'까지 제기된 근로시간제, 취지 퇴색은 안 된다

▲ 매일경제 = 주 60시간이든 69시간이든 근로시간 유연화가 핵심이다

한일정상 셔틀외교 12년만에 복원, 미래로 가자

▲ 브릿지경제 = 유럽도 보조금제 개편, '한국판 IRA' 내놓아야 하나

▲ 서울경제 = SVB 이어 CS까지…'금융 리스크 전이' 신속 대응책 세워라

北 ICBM 발사, 한일 안보·경제 전방위 협력 필요성 더 커졌다

"노동시장 자유 낙제 수준"…유연성 제고가 해법이다

▲ 이데일리 = 스텝 꼬인 근로시간제…국민 설득과 홍보가 먼저다

반도체 패권 걸린 삼성 300조 투자, 국가 총력지원해야

▲ 이투데이 = 가덕도 신공항, 속도보다 안전이다

▲ 전자신문 = 송출수수료 갈등 이젠 마무리하자

한일 경협, 성과 확실히 해야

▲ 한국경제 = 한·일 정상회담, 관계 정상화 첫걸음 무난하게 뗐다

이번엔 CS 위기설…불똥 안 튀게 선제 대응 서둘러야

근로시간 개편안 되물리기, 노동개혁 후퇴 아니고 뭔가

▲ 대한경제 = 근로시간 개편, 노동계 우려 보완하되 개선 취지는 살려야

K칩스법 위해 머리 맞댄 여야…민생법안 처리에 속도내라

▲ 파이낸셜뉴스 = 한일 정상 도쿄서 회담, 양국 관계회복에 속도 내야

유럽 은행도 휘청, 유사시 대응력 깐깐히 살피라

(서울=연합뉴스)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