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지자체 ‘쉼터’ 절반 뿐... 갈 곳 없는 ‘가정 밖 청소년’

이다빈 기자 2023. 3. 17. 05:01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용 인원 360여명 그쳐... 특정지역 쏠림 현상도
道 “설치 지원 등 노력”
(이미지는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제공

 

경기도 지자체 2곳 중 1곳이 가정밖청소년들이 안전을 보장받으며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인 청소년 쉼터를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도움이 절실한 청소년들을 위기 상황 속에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약 7천여명(올해 2월 기준)의 가정밖청소년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청소년쉼터는 가정밖청소년에게 의식주 지원 및 학업 지원, 심리정서 지원 등 안정적인 보호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시설이다. 가정밖청소년들은 가정의 울타리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학대 등의 이유로 가정에서 밀려 나온 청소년들로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기 십상이다. 청소년쉼터는 이들을 보호하는 울타리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경기도내 청소년 쉼터는 17곳 지자체에 31개소로 약 360여명의 청소년만 수용할 수 있다.

청소년 쉼터가 전무한 지자체는 광주, 안성, 양주, 여주 등 14곳에 달한다.

더욱이 쉼터를 운영 중인 지자체 중에서도 김포, 남양주 등은 이동형 쉼터 또는 24시간~7일 이내 머물 수 있는 일시형 쉼터만 있어 장기간 수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청소년쉼터가 부족하고 지역별로 편차가 있어서 생기는 문제는 고스란히 가정밖청소년들이 떠안게 된다고 지적한다. 이에 청소년쉼터의 유무는 물론 일시 및 단기, 중장기 등 청소년쉼터가 유형별로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마재순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전 회장은 “일례로 경기북부에는 쉼터가 적고 장기간 가정밖청소년을 보호할 쉼터도 부족해 경기북부의 학교에 다니는 가정밖청소년이 왕복 3~4시간 걸리는 인천 내 청소년쉼터를 다니기도 했다”며 “청소년쉼터가 특정 지역에 쏠려 있어 균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그는 “현재 청소년쉼터 설치는 기초지자체에서 담당하고 있어 예산 부족으로 쉼터 설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나 도 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도내 쉼터 수용인원보다 사용 인원이 적어 개소 수가 부족하다고 보진 않는다”면서도 “쉼터의 지역별 편차가 있는 것에 대해선 문제를 인지하고 있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쉼터 설치는 시군 사업이지만 도에서도 현재 전체 비용 중 일부를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설치를 희망하는 지자체가 있다면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다빈 기자 ilwoldabin97@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