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인 수녀 '기도의 창가에서'] 신발을 신으며 배우는 겸손

이해인 수녀·시인 2023. 3. 17.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 매일 아침 일어나서 신발을 신을 적마다 '오늘도 새롭게 희망을 신는 거야' '신발을 신은 사람답게 씩씩하게 걸어가자. 앞으로 나아가자. 고맙게 성실하게!'라고 다짐해보곤 합니다.

신발의 용도도 다양해서 어느 것은 성당에 기도하러 갈 때, 어느 것은 잠시 산보하러 갈 때, 어느 것은 멀리 여행 갈 때, 그리고 또 어느 것은 병원에 입원하러 갈 때 신도록 정해 두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해인 수녀·시인

1) 매일 아침 일어나서 신발을 신을 적마다 ‘오늘도 새롭게 희망을 신는 거야’ ‘신발을 신은 사람답게 씩씩하게 걸어가자. 앞으로 나아가자. 고맙게 성실하게!’라고 다짐해보곤 합니다.

“1960~1970년대 어느 날 광안리 해변으로 산책 나와 찍은 사진”이라며 이해인 수녀가 보내온 흑백사진. 본문에서 이해인 시인은 “어쩌다 바닷가에 다녀오는 길엔 신발가게를 둘러보는 재미가 있었다”고 떠올린다.

신발을 신으며

발에 신으면 발신이지

왜 신발이냐고 우기던

어린 조카의 말을 생각하며

신발을 신습니다

무거운 나를 가볍게 지고 갈

나의 신발에게 늘 고맙다는 말

잊지 않으면서 하루의 길을 가면

더욱 정겹게 살아오는 나의 이웃

반갑게 웃어주는 거리의 풍경

날마다 낮은 자세로 신발을 신으면

높은 곳에 있던 행복도

굽 낮은 신발을 신고

사뿐히 겸손하게 내려옵니다

이름을 쓴 신발, 시를 써서 넣어놓은 신발. 신발은 내가 되고 시가 된다.


발에 신으면 발신이지 왜 신발이냐고 우기던 어린 조카 권태균도 이젠 40대의 어른이 되었는데 발신이라 우기던 때가 생각나느냐고 물으니 모른다고 합니다. 며칠 전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신발박물관(한국 유일의 신발박물관인 한국신발관)에 다녀오며 기차표·말표·국제 고무신 등등 상표를 보니 얼마나 반갑던지요.

세상 물정 잘 모르는 갈멜회(봉쇄수도원) 수녀님들이 모처럼 외출 한 길에 기차표 신발가게에 들어가 ‘기차표 사러 왔는데요’ 했다는 일화를 그 수도원에 몸담고 계시던 언니 수녀님에게서 전해 듣고 많이 웃었던 일이 떠올랐습니다.

신발박물관에는 유명한 문화예술인들이 사인한 신발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저에게도 한 켤레 달라고 하여 준비하는 중에 신발장에 있는 신발들을 다 꺼내보기 시작하다가 반들 반들 윤 나게 닦아주니 신발들도 매우 기뻐하는 것 같았습니다. 수도자의 신분이다 보니 거의 다 검정이나 회색이지만 더러는 푸른색과 흰색 실내화도 있습니다.

신발의 용도도 다양해서 어느 것은 성당에 기도하러 갈 때, 어느 것은 잠시 산보하러 갈 때, 어느 것은 멀리 여행 갈 때, 그리고 또 어느 것은 병원에 입원하러 갈 때 신도록 정해 두었습니다.

어쩌다 바닷가에 다녀오는 길엔 신발가게를 둘러보는 재미가 있었는데 하나 둘씩 문을 닫으니 안타깝고 서운해서 어느 날 부산에 신발산업이 좀 더 번창할 수 있기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신발박물관 견학을 일부러 갔던 것입니다.

명절날 현관에 신발이 많으면 괜히 흥분되고 기뻤던 기억도 나고 피란 시절 고모가 사다 준 빨간 운동화가 하도 이뻐 끌어안고 잤던 고운 추억도 있습니다. 이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며 ‘우리집에 신발이 많을 때면’이라는 동시를 한 편 적어보기도 했습니다.

학교에 다녀와서 우리집 현관에

신발이 많은 날은

‘손님이 많이 오셨구나’ ‘누가 오셨을까?’

몹시 궁금하고 설레는 내 마음

설날 추석날 어른들의 생신날

일가친척들이 많이 모이면

나는 즐거운 마음으로 신발을 세어봅니다

반들 반들 윤이 나는

아저씨들의 검은 구두

뾰족하고 굽 높은 아줌마의 구두

시골 흙이 묻은 할머니의 하얀 고무신

언니 오빠들의 산뜻한 운동화

아가들의 앙증스런 꽃신

신발 수만큼이나 나의 기쁨도 늘어납니다

하하 호호 웃음소리와

오순도순 정다운 이야기가

방 안에선 쉬임 없이 흘러나오고

신발들은 덩달아 할 이야기가 많은 듯

서로를 바라보며

주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2) 신발에 대해 여러 편의 시들을 썼지만 아주 오래전에 쓴 이 시를 많은 독자분이 좋아하고 특히 연말이 되면 자신을 성찰하는 일종의 ‘반성일기’로 좋아해 주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낡은 구두

내가 걸어다닌 수많은 장소를

그는 알고 있겠지

내가 만나 본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도

아마 기억하고 있겠지

나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던 그는

내가 쓴 시간의 증인

비스듬히 닳아버린 뒤축처럼

고르지 못해 부끄럽던 나의 날들도

그는 알고 있겠지

언제나 편안하고 참을성 많던

한 켤레의 낡은 구두

이제는 더 신을 수 없게 되었어도

선뜻 내다버릴 수가 없다

몇 년 동안 나와 함께 다니며

슬픔에도 기쁨에도 정들었던 친구

묵묵히 나의 삶을 받쳐준 고마운 그를!

이미 보관하고 있는 신발들 중에서 신으면 매우 무게감 있고 안정감 있어 넘어짐을 예방해 줄 것 같은 편한 신발을 다시 관심 갖고 찾아 신으니 든든하고 기쁩니다.


좀 더 똑바로 걷지 못한다고 핀잔을 주는 동료 수녀들의 충고도 기억하면서 저는 이 신발에 왼쪽은 ‘중용’ 오른쪽은 ‘조화’라는 이름을 붙이고 열심히 하루의 길을 가야겠습니다. 신발을 신고 싶어도 이젠 다시 신을 수가 없는, 저 멀리 세상 떠난 가족 친지 이웃들, 지금 이 순간에도 속히 자신의 신발을 신고 외출할 날을 기다리며 병상에 누워있는 환자들을 기억하면서 물끄러미 신발을 바라보는데 알 수 없는 눈물 한 방울이 하얀 꽃으로 떨어집니다. 신발의 또 다른 이름은 겸손이라고 속삭이면서!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