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거나 긴 잠 뇌졸증 위험↑…6~7시간이 적당”

이지현 2023. 3. 17. 00: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잠은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사람이 평생 하루 평균 6~8시간을 잠을 잔다고 할 때 수명을 100세로 환산하면 25~33년은 수면으로 보내는 셈이다.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는 "수면을 너무 짧게 하는 것도 9시간 이상 길게 자는 것도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6~7시간 정도 수면이 제일 적당하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세계수면의 날
2021년 수면장애 등 치료 74만명
수면무호흡 환자 가파른 증가추세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잠은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사람이 평생 하루 평균 6~8시간을 잠을 잔다고 할 때 수명을 100세로 환산하면 25~33년은 수면으로 보내는 셈이다.

잠은 피로 회복과 생체리듬 유지에 꼭 필요해 ‘잠이 보약이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하지만 오래 자는 것도 적게 자는 것도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어 건강한 잠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매년 3월 셋째 주 금요일은 세계수면학회에서 지정한 세계수면의 날이다. 올해는 17일이다. 이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수면장애, 불면증, 과다수면, 기타수면장애, 상세불명의 수면장애 환자는 74만명이나 된다. 2018년 58만명이었던 것이 3년만에 15만명(26.79%↑)이 늘었다.

좀 더 자세히 보면 △불면증 43만4538명 △상세불명의 수면장애 16만1726명 △수면무호흡 10만1348명 △기타수면장애 4만2288명 △과다수면 1965명 △수명각성일정장애 1853명 △수면장애 163명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면 개시 및 유지 장애를 호소하는 불면증 환자가 2018년 37만5757명에서 3년만인 2021년 43만4538명으로 5만8981명(15.64%)이나 증가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잠을 못 자는 것도 문제지만, 잠이 많은 것도 문제다. 과다수면으로 치료를 받은 이들도 2018년 1600명에서 2021년 1965명으로 365명으로 늘었다. 3년만에 증가폭이 22.81%나 된다. 많은 이들이 잠을 많이 자는 건 잠을 못 자는 것만큼 문제가 아니라고 넘길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그렇지 않다고 봤다.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는 “수면을 너무 짧게 하는 것도 9시간 이상 길게 자는 것도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6~7시간 정도 수면이 제일 적당하다”고 말했다.

수면의 질도 중요하다. 수면 중 심한 코골이 등으로 잠자는 동안에 숨쉬기를 멈추는 수면 중 호흡정지는 저산소혈증으로 다양한 심폐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2018년 3만1291명이던 수면무호흡 환자는 2021년 4만2288명으로 35.14%나 늘었다. 수면관련 환자 중 가장 증가폭이 가파르다. 김태정 교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증상이 있다면 꼭 진단받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지현 (ljh423@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