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5년 생존율 80%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위암 수술 환자의 5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 이인섭(위장관외과)·김경원(영상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3∼2012년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4,000여 명의 수술 1년 후 치료 결과와 건강 상태를 바탕으로 5년 생존율을 80% 정도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암 수술 환자의 5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 이인섭(위장관외과)·김경원(영상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3∼2012년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4,000여 명의 수술 1년 후 치료 결과와 건강 상태를 바탕으로 5년 생존율을 80% 정도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그 동안 위암은 다른 암과 달리 종양의 병기 외 수술 후 5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확립된 요인들이 없었다.
AI 알고리즘 개발에는 위암 환자들의 수술 1년 후 데이터가 활용됐다. 수술 후 1년 이내 사망은 암의 공격성 때문일 때가 많고, 2~3기 위암은 수술 후 보조 화학 요법을 6개월에서 1년 간 시행하기에, 연구팀은 위암 수술 후 장기 생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1년 후 환자 상태가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환자의 수술 전 건강 정보, 수술 · 항암 · 병리 정보뿐만 아니라 재발에 대한 추적 관찰을 위해 공통적으로 시행하는 혈액검사 결과,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결과 등 65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켰다.
그 결과, 연구팀이 환자 데이터로 AI의 5년 생존율 예측 정확도를 확해 보니 두 차례 평가에서 각각 76%, 81%의 정확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수술 및 항암 치료 뿐만 아니라 위암 수술 1년 후 환자 체중, 근육량 및 지방량 변화, 영양 상태 등이 5년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도 확인했다.
이인섭 교수는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위암 수술 후 장기적인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는 점 뿐만 아니라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가 꾸준한 근력 운동, 고단백 식습관 등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요인이 장기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까지 밝혔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분야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악액질, 근감소증과 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근 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재용 "아들 주장 사실 아냐"... 5·18 사과에 대해선 '노코멘트'
- "윤 대통령, 한국의 ‘예스 재팬’ 세대가 반일 여론 완화시킬 거라고 기대"
- 조민 "동양대 표창장 준다기에 그러려니 생각… 총장과 카톡하는 사이"
- 42년 전 버스터미널서 길 잃은 아들, 유전자 채취로 엄마 찾았다
- 유아인 프로포폴 처방 의사 '셀프 투약' 혐의로 구속 기로
- '20년 미제' 백 경사 살해사건··· 경찰 "대전 은행강도 범인 소행"
- 계좌번호 찍어 아들 청첩장 1350장 보낸 장흥군수 "사려깊지 못했다"
- 박수홍 "관련 없는 전 연인 왜 언급하나"… 법정서 '울분' 토로
- 새벽 5시 30분에 등교하면 대학 잘 간다? 인도네시아의 실험
- "진짜 겨울은 아직 오지 않았다"...말라가는 투자금에 한숨 짓는 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