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발언 김영환 충북지사 “모든 논란 제 책임, 심려 끼쳐 죄송”

손봉석 기자 2023. 3. 16. 19: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김영환 충북지사가 16일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는 발언에논란과 관련, “도민께 심려를 드려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저의 페이스북 글 중 ‘친일파’라는 표현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는 것에 대해 제게 책임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영환 지사는 “친일파라는 말은 우리 근현대사를 통해 한 개인이나 집단을 저주하는 가장 혹독한 ‘주홍글씨’”라며 “그렇기 때문에 진짜 친일이라면 바보가 아닌 이상 스스로 친일파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해법(제3자 변제 방식)은 대한민국의 저력에서 발로한 자신감 그 자체로, 저는 한일외교를 복원하고 미래를 향한 윤 대통령의 외로운 결단에 공감을 보냈던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 지사는 “이번 결단은 박정희 대통령의 한일협정, 김대중 대통령의 문화개방과 같은 구국의 결단”이라며 “그럼에도 친일파라는 민감한 표현을 써 오해의 소지를 만들고 도민께 걱정을 끼친 것은 저의 불찰”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오로지 도민 여러분만 바라보며 도정에 매진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김영환 지사는 이날 SNS에도 “양국 관계개선의 발목을 잡은 강제징용 피해 배상이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 되겠다는 절박감에서 나온 애국심과 충정의 강조였는데 많은 논란을 빚고 말았다”며 “개인적으로는 참으로 안타깝지만 모두 제가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주장했다.

또 “1964년 한일협정을 체결한 박정희 대통령, 1998년 일본문화 개방을 결정한 김대중 대통령, 오늘의 윤 대통령 모두 친일굴욕으로 몰렸지만 옳았다”는 의견을 펼치기도 했다.

이날 충북도청에서는 김 지사를 옹호하는 충북보훈단체협의회와 그를 비판하는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집회가 이어졌다.

보훈단체협의회는 “국가를 생각하며 정부의 판단을 응원한 (김 지사의) 글이 왜 친일로 몰려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충북 발전에 몰두하는 김 지사의 도정에 도움을 주지는 못할망정 최소한 방해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기꺼이 친일파 망언 김영환 지사 사과하라’는 피켓을 들고 침묵시위를 벌였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