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시그니처 흰 카멜리아…사실은 향기 없는 꽃이랍니다

최지희 2023. 3. 16.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샤넬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 바로 흰색 카멜리아, 동백꽃이다.

패션 제국 샤넬을 일으킨 디자이너 가브리엘 샤넬은 이 카멜리아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사랑했던 남자친구 보이 카펠에게 이 카멜리아의 향기를 담은 향수를 선물하고자 했다.

그럼 우리가 아는 가드니아, 카멜리아로 불리는 샤넬 향수는 도대체 어떤 향이란 말인가.

즉 조향사 보가 '이 꽃에서는 이런 향기가 나겠지'라고 상상하며 만든 향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샤넬 조향사가 알려주는 향수 TMI
'무취' 동백꽃 사랑한 샤넬
"이런 향 날거야" 상상 조향
손목에 뿌려 비비면 향 변해
상·하체 두 번 뿌려야 오래가

샤넬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 바로 흰색 카멜리아, 동백꽃이다. 패션 제국 샤넬을 일으킨 디자이너 가브리엘 샤넬은 이 카멜리아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사랑했던 남자친구 보이 카펠에게 이 카멜리아의 향기를 담은 향수를 선물하고자 했다. 하지만 카멜리아의 가장 치명적 단점은 ‘향기가 없다’는 것.

이에 샤넬의 첫 전속 조향사 에르네스트 보는 카멜리아와 닮은 꽃인 ‘가드니아’ 치자꽃을 찾아냈다. 그런데 치자꽃 또한 꽃잎이 예민해 작은 상처에도 금방 향이 사라져버렸고, 향수를 만들 수 없는 꽃이란 것을 알아냈다. 그럼 우리가 아는 가드니아, 카멜리아로 불리는 샤넬 향수는 도대체 어떤 향이란 말인가. 바로 ‘이미지 조향’으로 제조된 향수다. 즉 조향사 보가 ‘이 꽃에서는 이런 향기가 나겠지’라고 상상하며 만든 향수다.

샤넬을 비롯한 다양한 향수 브랜드를 만나다 보면 친숙하게 만나는 세 가지 단어가 있다. 바로 ‘파팡·퍼퓸·투알레트’다. 이 세 가지 향수의 차이는 뭘까. 바로 농도의 차이다. 투알레트는 가장 가벼운 향으로, 퍼퓸, 파팡으로 갈수록 그 농도가 짙어지고 지속력도 길어진다.

그럼 지속력 좋은 파팡을 쓰면 될 걸, 사람들은 왜 투알레트를 살까? 파팡은 단 두 방울만으로도 옆 사람을 힘들게 할 정도로 그 향이 진하기 때문에 짙은 향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겐 선호도가 낮은 향수다. 이 세 향수는 뿌리는 방법도 다르다. 상대적으로 향이 가벼운 투알레트와 퍼퓸은 무릎 위로 상·하체 골고루 뿌리는 것이 좋다. 파팡은 맥박이 뛰는 손목 부위에 뿌리는 것이 아니라 ‘발라야’ 한다.

사람들이 향수를 뿌릴 때 하는 두 가지 실수도 있다. 첫 번째는 향수를 손목에 뿌리고 비비는 행동. 이는 향수의 고유한 향기를 변하게 한다. 두 번째는 하체에 향수를 뿌리지 않는 것. 상체에만 향수를 뿌리면 향기가 바람에 날려 금방 사라지게 된다.

조향사들이 말하는 이상적인 향수란, 은은하고 향기가 오래가는 제품을 의미한다. 향기를 겹쳐 사용하는 ‘레이어링’을 할 때에는 향수끼리가 아니라 보디 제품과 함께 쓰는 것이 향기가 더 오래 가고 매력적이라고. 이때 보디 크림과 오일 등은 같은 계열의 향기가 풍기는 제품을 고르거나 아예 무취 제품을 고르는 게 좋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