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향기는 추억의 잔상까지 소환한다

구은서 2023. 3. 16. 18: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는 생각이 없다. 향수를 만드는 건 뇌가 하는 일이다."

럭셔리 향수 브랜드 '메종 프란시스 커정'을 만든 세계적 조향사 프란시스 커정은 10년 전 조향사를 꿈꾸던 오하니 작가에게 이같이 말했다.

이제 11년차 조향사가 된 오 작가는 "직관적인 커정의 향수처럼 강렬한 조언이었다"고 말했다.

출판사 편집장이 작가, 편집자, 디자이너의 작업물을 최종 조율해 세상에 내놓듯 훌륭한 조향사의 결과물을 엄선해 향수로 낸다는 의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마음에 잔향 남긴 조향사들의 말
오하니 작가와 그의 조향 작업대.


“코는 생각이 없다. 향수를 만드는 건 뇌가 하는 일이다.”

럭셔리 향수 브랜드 ‘메종 프란시스 커정’을 만든 세계적 조향사 프란시스 커정은 10년 전 조향사를 꿈꾸던 오하니 작가에게 이같이 말했다. 좋은 향기란 낭만이 아니라 치밀한 계산을 통해 완성된다는 뜻이다. 이제 11년차 조향사가 된 오 작가는 “직관적인 커정의 향수처럼 강렬한 조언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적 조향사를 만난 경험을 녹여 최근 <아이 러브 퍼퓸>을 출간했다.

브랜딩 컨설턴트 등을 거친 오 작가는 세계적 조향사들의 인터뷰를 패션 잡지에 실은 뒤 조향사의 꿈을 이뤘다. 그에게 강렬한 향기를 남긴 ‘조향사들의 말’을 정리했다. 조향사뿐 아니라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외출 전 마지막으로 향수를 입는 사람이라면, 음미할 만한 문장들이다.

프레데릭 말 “언제나 당신답게”

‘향수 편집장(perfume publisher)’, ‘에디션 드 퍼퓸 프레데릭 말’ 창업자이자 조향사인 프레데릭 말은 자신을 이렇게 칭한다. 출판사 편집장이 작가, 편집자, 디자이너의 작업물을 최종 조율해 세상에 내놓듯 훌륭한 조향사의 결과물을 엄선해 향수로 낸다는 의미다.

조향사들의 조향사인 그에게 ‘향수를 고르는 걸 어려워하는 사람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으냐’고 오 작가가 물었다. 말의 대답은 민트향처럼 명쾌했다. “여러분이 편안하게 느끼는 향수를 사세요. 당신이 좋아하는 게 최고의 향수입니다. 언제나 당신답게.”

파트리샤 드 니콜라이 “향수는 다시 만나는 사랑”

책 ‘아이 러브 퍼퓸’

파트리샤 드 니콜라이는 ‘향수 명문’ 겔랑 가문 출신에서 처음 배출한 여성 조향사다. 세계 최고의 조향 학교인 ISIPCA를 졸업했다. 그가 1989년 내놓은 ‘퍼퓸 드 니콜라이’는 니치 향수(럭셔리 향수)의 시초로 꼽힌다.

니콜라이는 2008년부터 프랑스 향수 기록 보관소 ‘오스모테크’의 대표를 맡고 있다. 현재 채취가 금지된 천연 머스크(사향), 생산 중단된 옛 향수 등이 보관된 곳이다. 그래서일까. 니콜라이는 오 작가에게 “향수란 기억의 영혼”이라고 말했다. “당신이 누군가를 사랑할 때 그의 향을 기억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을 다시 한번 만날 수 있어요.”

 프란시스 커정 “영감은 일할 때 찾아온다”

커정의 이름 앞에는 ‘천재 조향사’라는 수식어가 붙곤 한다. 24세에 전 세계 남성들이 사랑하는 여름 향수인 ‘르말(Le male)’(장 폴 고티에)을 만들었고, 30세에 ‘향수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코티 어워드를 받았다.

그런데 오 작가가 만난 커정은 뜻밖에 ‘연습’을 강조했다. 그는 ‘식욕은 그냥 생기는 게 아니라 음식을 먹는 중에 생긴다’는 프랑스 속담을 인용하며 “영감은 꽃향기를 맡으며 여유를 즐길 때가 아니라 일하는 와중에 찾아온다”고 했다.

“좋은 조향사가 되고 싶다면 오케스트라 연주자들처럼 연습하고 또 연습해야 합니다.”

 오하니 “향수는 내가 ‘나’인 이유”

오 작가는 “향기는 한 사람의 정체성”이라고 했다. 그의 향수 시리즈 ‘히어로즈오브코리아’는 허난설헌, 세종대왕 등 한국의 위인에게서 모티브를 얻는다. 그는 “뉴욕 패션스쿨 시절 ‘한국에서 왔다’고 하면 ‘김정일의 나라냐’고 되묻는 반응이 지겨웠다”며 “한국을 설명할 수 있는 향기를 고민했고, 그런 향수는 커정도 니콜라이도 못 만들지만 나는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인공지능(AI)이나 로봇이 대체하지 못하는 나의 특성은 결국 향기 아닐까요. 나만의 체취, 그리고 어떤 향기를 맡았을 때 내가 떠올리는 감정과 기억이요. 그런 의미에서 향수는 내가 ‘나’인 이유를 말해주죠.”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