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질하는 'AI 로봇 화가' 나왔다 … 인간 창의성에 도전

황순민 기자(smhwang@mk.co.kr) 2023. 3. 16.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혜진 美카네기멜런대 교수 '프리다' 개발
음악·사진·텍스트 입력하면
로봇이 캔버스에 직접 그려
명령어로 이미지파일 만드는
오픈AI '달리'와는 차별점
AI 로봇 '프리다'가 그림을 그리고 있다. 【사진 제공=카네기멜런대】

고도화된 인공지능(AI)을 탑재해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한 획 한 획 그림을 직접 그려내는 로봇이 개발됐다. 인간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지는 '창의성'의 영역에 도전하는 로봇이 등장한 셈이다. 최근 이용자 요구에 따라 그림을 무제한으로 '뚝딱' 찍어내는 '생성형 AI'를 둘러싼 저작권 논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AI 로봇이 예술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지 주목된다.

16일 글로벌 로봇학계 등에 따르면 미국 카네기멜런대 로봇연구그룹(BIG)은 그림을 그리는 로봇 '프리다(FRIDA)' 개발에 성공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을 말이나 사진으로 설명하면 팔처럼 생긴 로봇이 아크릴 물감으로 천천히, 대담한 붓놀림으로 그림을 그려낸다. 로봇이 물감을 쓰고 일일이 붓질을 하며 인간과 함께 작업한다는 점에서 오픈AI가 개발한 달리(DALL-E) 등 시장에 나온 이미지 생성 AI와 차별점이 있다.

주목되는 것은 프리다를 개발한 사람이 한국인 공학자라는 점이다. 오혜진 카네기멜런대 로봇학과 교수가 프로젝트 책임연구자(PI)를 맡아 모든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오 교수는 "예술을 통해 새로운 기술 분야를 개척하겠다"는 일념으로 만들어졌다. 프리다는 실생활에서 쓰임새가 있는 AI 로봇 상용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로봇학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오 교수는 매일경제와 인터뷰에서 "생성형 AI가 찍어내는 그림들은 프린트할 수 있지만 페인트로 그릴 수는 없다"면서 "생성형 AI가 '비대면 줌 미팅'이라면 프리다는 '대면 미팅'이라고 할 수 있다"고 비유했다. 그간 로봇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시도는 꾸준히 있어왔지만 대부분 그림을 그리는 것(창작)보다는 엔지니어링을 통해 주어진 이미지를 로봇으로 '찍어내는' 기술에 가까웠다. 프리다는 AI를 접목해 이 문제에 접근했다. 오픈AI의 챗GPT와 유사한 방식의 AI 모델을 활용해 로봇이 붓질을 통해 이미지를 그리는 방법을 시뮬레이션하고, 기계 학습을 활용해 작업 진행률을 평가하는 식이다.

그림을 그리는 AI 로봇 개발의 최대 난제는 가상과 현실 사이 간극을 줄이는 것이다. 오 교수는 "프리다 시스템을 크게 시뮬레이션(상상)과 실제 작동(현실)으로 나눠보면, 생성형 AI와 같은 모델들을 사용해 그리고자 하는 그림을 상상하고 카메라를 통한 인식으로 붓의 움직임을 정하는 과정을 거친다"면서 "여기서 시뮬레이션 환경과 현실 간 괴리가 발생하는데 최근 프리다 로봇의 실제 데이터를 사용해 이 간격을 줄이는 데 큰 성과가 있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 성과를 오는 5월 런던에서 열리는 국제로봇학회 'ICRA 2023'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황순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