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엔 인수 뒤 콧노래 … 카카오 뮤직부문 몸값 3배 '쑥'

오대석 기자(ods1@mk.co.kr), 강두순 기자(dskang@mk.co.kr) 2023. 3. 16.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멜론' 음원 대거 확보로
해마다 1000억대 영업익
음원사업 가치 6조로 증가
올 누적 영업익 1조 웃돌 전망
8년 만에 투자금 2배 회수
SM 인수로 실적 성장 탄력

최근 하이브를 제치고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에서 승리한 카카오는 2016년 국내 최대 음악 플랫폼 '멜론' 운영사인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할 당시부터 음악 사업에 대한 '진심'을 드러냈다.

로엔 인수 당시 1조8000억원 수준이던 음악사업의 기업가치는 올해 초 투자 유치 과정에서 6조원으로 평가받았다. 인수 7년 만에 기업가치가 3배 넘게 커진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SM 인수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가시화되면 기업가치 상승폭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카오는 로엔을 인수한 뒤 매년 1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음악 사업에서 올렸다. 올해 말까지 1조2000억원에 달하는 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인수 당시 투입된 현금이 약 6000억원 규모인 것을 감안하면 8년 만에 투자 원금 대비 2배의 자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해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엔터가 올해 초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싱가포르투자청(GIC)에서 1조20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할 당시 음악부문(구 로엔)의 기업가치는 6조원으로 평가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기업가치가 10조5000억원으로 평가받은 것을 감안하면 기업가치의 절반 이상이 음악사업에서 창출된 것이다.

카카오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다양한 광고와 기업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매출과 이익을 증대해왔지만, 현재 그룹 내에서 가장 촉망받는 성장동력은 콘텐츠 사업이다. 특히 음악부문은 수년간 그룹의 발전을 지탱해온 자금줄 역할을 하며 글로벌 진출과 미래 성장을 이끄는 핵심 사업으로 지목된다.

카카오가 음악 사업으로 눈을 돌린 것은 2016년 1월 로엔을 인수하면서부터다. 로엔은 국내 최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을 운영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음악 유통 부문에서 국내 최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었다. 현재 카카오엔터 음악 사업 부문의 기반이 됐다. 당시 로엔 인수를 강하게 밀어붙인 건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투자총괄 대표로 알려졌다. 1조8000억원에 달하는 몸값 때문에 내부에서는 반대 의견도 많았지만, 창업자인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인수를 지지하면서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결과적으로 로엔 인수는 막대한 투자 성과로 돌아왔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 7년간 카카오가 음악 사업 분야에서 거둬들인 영업이익은 8305억원에 달한다. 인수 당시 로엔이 보유한 현금 1922억원과 올해 증권가에서 예상하고 있는 음악부문의 영업이익 1900억원까지 더하면 8년여 만에 약 1조2000억원의 현금 이익을 창출하게 된다. 인수 당시 카카오가 신주 발행으로 1조2000억원 규모를 충당했고 현금 지급은 6000억원에 불과했기 때문에 올해 말까지 6000억원 이상 자금을 초과 회수하는 셈이다. 인수 당시에 들어간 현금 6000억원은 2020년 회수가 완료됐다.

로엔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은 2016년부터 수년간 지속된 카카오의 실적 '암흑기' 동안 버팀목이 됐다. 실제 2018년 카카오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729억원이었는데, 로엔 혼자 영업이익 1012억원을 기록했다. 나머지 사업 부문에서 283억원 적자가 났는데도 흑자를 유지할 수 있었다.

로엔도 카카오와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급성장했다. 인수 직전인 2015년 로엔의 매출은 3576억원, 영업이익은 634억원이었다. 지난해 카카오 음악부문의 매출은 8552억원, 영업이익은 1600억원에 달한다. 7년 만에 2배 넘게 성장한 것이다.

카카오가 최근 SM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주당 15만원의 공개매수라는 강수를 둔 것도 이 같은 전략적 효과를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SM이 경쟁사로 넘어가면 수년간 육성해온 음악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M 시가총액이 현재 2조7000억~3조원을 오가는 만큼 단순 합산으로만 전체 카카오의 음악 사업 기업가치는 10조원에 육박한다.

향후 SM과 협력 시너지까지 고려하면 음악 사업의 가치는 급격히 높아질 수 있다. 단순 음악 분야만 놓고 봐도 K팝 아티스트와 지식재산(IP)을 대거 확보해 JYP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K팝 강자에 밀리지 않게 된다. 국내 음원 유통 산업의 강자인 카카오엔터 음악부문과 협력하면 공연부터 음반까지 음악 연계 사업의 다방면에서 수익이 증대될 수 있다. 카카오엔터의 강점인 웹툰·웹소설·영상화까지 연계될 것으로 예상돼 부가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예지 하나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와 손잡고 선보인 방탄소년단(BTS) 웹툰과 웹소설이 10개국 언어로 공개된 지 이틀 만에 조회 수 1500만회를 기록했다"며 "SM과 카카오의 웹툰·웹소설 사업 간 협업은 미국, 동남아시아 신규 국가에서 큰 마케팅 효과를 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SM의 팬 플랫폼 '버블'과 카카오톡이 시너지를 내면 카카오톡의 해외 진출에도 강한 동력이 생길 수 있다.

[오대석 기자 / 강두순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