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호 · 홍명보 · 신태용 · 이동국, K리그 명예의 전당 '첫 헌액'

주영민 기자 2023. 3. 16. 13: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순호 수원 FC 단장과 홍명보 울산 현대 감독, 신태용 인도네시아 대표팀 감독, 이동국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 '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출범 40주년을 맞이해 명예의 전당을 신설하고 첫 헌액자 선정 과정을 진행해 왔습니다.

2세대 헌액자인 홍명보 감독은 1992년 포항에서 데뷔하자마자 리그 우승과 베스트11, 최우수선수(MVP)를 모두 이뤘고, K리그 통산 156경기 14골 8도움을 남겼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순호 수원 FC 단장과 홍명보 울산 현대 감독, 신태용 인도네시아 대표팀 감독, 이동국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 '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출범 40주년을 맞이해 명예의 전당을 신설하고 첫 헌액자 선정 과정을 진행해 왔습니다.

명예의 전당은 '선수(STARS)', '지도자(LEADERS)', '공헌자(HONORS)' 3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올해부터 2년마다 헌액자를 정합니다.

올해는 10년마다 1명씩 최고의 선수 총 4명을 뽑았고, 지도자와 공헌자 부문에서 1명씩 선정했습니다.

선수 부문의 경우 별도의 선정위원회가 세대별 15인씩 후보를 추천한 뒤 이들을 대상으로 위원회 자체 투표(25%), 구단 대표 및 감독 투표(25%), 미디어 투표(25%), 온라인 팬 투표(25%)를 거쳐 헌액자가 결정됐습니다.

1세대 헌액자로 선정된 최순호 단장은 1980년 실업팀 포항제철에 입단했고, 프로축구가 출범한 1983년부터 1991년까지 포항제철과 럭키금성에서 활약했습니다.

K리그 통산 100경기에서 23골 19도움을 기록하고, 1986년 포항제철의 리그 우승과 1984년 K리그 베스트11을 차지했습니다.

2세대 헌액자인 홍명보 감독은 1992년 포항에서 데뷔하자마자 리그 우승과 베스트11, 최우수선수(MVP)를 모두 이뤘고, K리그 통산 156경기 14골 8도움을 남겼습니다.

K리그 명예의 전당 선수 부문 투표 결과


3세대 헌액자로 뽑힌 신태용 감독은 1992년 일화 천마에서 데뷔해 신인상을 받았고, 1993∼1995년 일화가 리그 3연패를 달성할 때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1995년엔 리그 MVP도 거머쥐었습니다.

2001∼2003년 또 한 번 리그 3연패를 이끈 그는 2004년 K리그를 떠날 때까지 401경기 99골 68도움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신 감독은 9차례나 K리그 시즌 베스트11에 오르며 역대 최다 기록을 보유했습니다.

4세대 헌액자인 이동국 부회장은 통산 548경기 228골 77도움으로 K리그 역대 최다 득점과 최다 공격 포인트, 필드 플레이어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했습니다.

1998∼2007년 포항, 유럽 무대 도전 이후 2008년 성남 일화, 2009∼2020년 전북 현대에서 뛴 그는 8차례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지도자와 공헌자 부문에는 각각 김정남 감독과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선정됐습니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연합뉴스)

주영민 기자nag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